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049
한자 李得馨愛民善政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Yi Deukhyeong’s Exemplary Government for the People
이칭/별칭 겸목관 이공득형 애민선정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24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오인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선정비
양식 석재의 직육면체 비석에 지붕돌을 얹음
관련인물 이득형(李得馨)
재질 석재
크기 100㎝[높이]|45㎝[너비]|15㎝[두께]
현 소재지 윤공단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24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조선 후기 겸목관 이득형(李得馨)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이득형 애민선정비(李得馨愛民善政碑)의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으며, 이득형의 선정을 기려 세웠다. 겸목관은 다대포 목장의 책임자를 가리킨다.

[위치]

이득형 애민선정비윤공단(尹公壇)에 들어서면 오른쪽에 위치한 비석군에 있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24번지이다.

[형태]

이수(螭首)는 양쪽에 돌출된 소용돌이 장식이 2개씩 달린 반원형이며 꼭대기에는 보주(寶珠)가 있다. 이수의 가운데에는 연꽃무늬가 음각되어 있다. 대좌(臺座)는 없으며, 개석은 관석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100㎝, 너비 45㎝, 두께 15㎝이다.

[금석문]

비석에는 ‘겸목관 이공득형 애민선정비(兼牧官李公得馨愛民善政碑)’라고 새겨져 있다.

[현황]

석비의 일부가 땅 속에 묻혀 있던 흔적이 있다. 윤공단 내에 있어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득형 애민선정비는 겸목관 송덕비라는 사실만 알 수 있을 뿐 건립 사유와 시기 등 비석 건립과 관련한 정보가 전혀 없다는 점에서 매우 특이한 유형이다.

[참고문헌]
  • 『부산 금석문』(부산광역시·경성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2)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