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979
한자 徐熹淳去思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Honoring the Beneficient Administration of Seo Huisun
이칭/별칭 순상국 서공희순 거사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85-7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양흥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거사비
관련인물 서희순(徐熹淳)
재질
크기높이/너비/두께 120㎝[높이]|51㎝[너비]|39.5㎝[두께]
소유자 부산광역시청
관리자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건립 시기/일시 1835년연표보기 -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793년연표보기 - 서희순 출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57년 - 서희순 사망
현 소재지 기장 읍성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85-7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조선 후기 경상 관찰사 서희순(徐熹淳)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서희순[1793~1857]은 순조, 헌종, 철종 3대에 걸쳐 이조, 예조, 호조 등 문관의 요직뿐 아니라 총위사(摠衛使) 등 무관 직책도 수행하였다. 1833년(순조 33) 5월부터 1834년(순조 34) 12월까지 경상 관찰사로 재임하는 동안 경상도에서 납부하던 대동목(大同木)[목면으로 바치던 대동세]을 돈으로 납부할 수 있도록 하여 당시 만연하던 대동목 납부 폐해를 감소시켰다. 비는 도광 십오년 을미 정월 일 립(道光十五年乙未正月日立)이라는 비문으로 보아 1835년(헌종 1) 1월에 세웠다. 비문에 서희순의 선정(善政) 내용과 비를 건립한 주체가 나와 있지 않아 비가 기장군에 세워진 이유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 수 없다.

[위치]

서희순 거사비(徐熹淳去思碑)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85-7번지 기장읍성 공덕비군 내에 있다.

[형태]

석비로서 비신(碑身)과 이수(螭首)는 같은 석재로 만들었으며, 이수 전면에는 반원형의 중심부에 양각으로 연꽃무늬를 새기고, 이수 양쪽에 나선형 부조를 상하 두 개씩 조각하고, 이수 위에 보주를 더하였다. 비의 크기는 높이 120㎝, 너비 51㎝, 두께 39.5㎝이다.

[금석문]

비 앞면에는 ‘순상국 서공희순 거사비(巡相國徐公熹淳去思碑)’라는 비제(碑題)가 적혀 있고, 좌측에 “도광 15년 을미년[1835] 정월에 세우다[道光十五年乙未正月日立]”라고 되어 있다.

[현황]

서희순 거사비는 전체적으로 마모가 심한 편이며,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의 기장 공덕비군에 있는 36기 중 하나이다. 현재의 기장 공덕비군은 기장초등학교 앞에 있던 비석군을 옮겨 조성한 것이다. 원래 기장군 기장읍 주변에 흩어져 있던 비를 1972년 기장초등학교 앞으로 옮겼고, 이후 도로 개설 공사로 다시 이전하면서 2004년 3월 지금의 기장읍성 동문 터 앞으로 옮겨 새로 단장하였다.

[의의와 평가]

서희순 거사비는 경상 관찰사 서희순의 이력 및 부산 지역과의 관련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