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917
한자 金東壽永世不忘碑
영어의미역 Memorial Tablet of Gim dongsu
이칭/별칭 경상 좌수사 김동수 영세불망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성로 43[수영동 229-1]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신명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관련인물 김동수(金東壽)
재질 석재
크기 144㎝[높이]|62㎝[너비]|22.5㎝[두께]
소유자 부산광역시청
관리자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건립 시기/일시 1883년 4월연표보기 - 김동수 영세불망비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81년 4월 15일 - 김동수 경상 좌수사에 임명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83년 6월 19일연표보기 - 김동수 경상 좌수사 퇴임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229-1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개항기 경상 좌수사 김동수(金東壽)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김동수는 1881년(고종 18) 4월 15일 경상 좌수사에 임명되었다. 고종은 5월 2일 김동수가 부임할 때 장궁(長弓) 1장, 장전(長箭) 1부, 편전(片箭) 1부, 통아(筒兒) 1부를 하사하였다. 김동수는 1883년 6월 19일 동지중추원사(同知中秋院事)에 임명되면서 경상 좌수사에서 교체되었다. 김동수 영세불망비(金東壽永世不忘碑)는 1883년(고종 20) 4월에 건립되었는데, 이는 김동수가 교체되기 2개월 전이다.

[위치]

김동수 영세불망비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229-1번지 수영 사적 공원 내에 있다. 원래는 수영성 주변에 있었으나 수영성 근방이 도시화되면서 자리를 옮기게 되었다.

[형태]

비석은 몸돌과 받침돌만으로 구성된 간단한 형태이다. 비석의 크기는 높이 144㎝, 너비 62㎝, 두께 22.5㎝이다.

[금석문]

비의 제목은 ‘경상 좌수사 김동수 영세불망비’이며, “밀린 세금 탕감하여 천 냥이나 구해 주고/ 밀린 환곡 덜어 준 것이 팔백 섬이라네/ 백성들에게 거둔 쌀 없으니/ 그 은혜 돌처럼 마모되지 않으리라. 숭정 기원 후 네 번째 계미년 4월 일 남촌면에서 세움[水相金公東壽永世不忘碑 蕩逋求千 減還八百 民無斂米 惠不泐石 崇禎紀元後四癸未 四月 日 南村面 立]”이라고 적혀 있다.

[현황]

수영 사적 공원에 있는 선정비군 가운데 하나로, 훼손된 부분이 거의 없이 잘 보존되어 있다. 관리는 부산광역시에서 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김동수 영세불망비는 19세기 말 경상 좌수사로 재직하던 김동수의 선정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려 주는 금석문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