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902
한자 具然浩永世不忘碑
영어의미역 Memorial Tablet of Gu Yeonho
이칭/별칭 행군수구연호영세불망비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강대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관련인물 구연호(具然浩)|김두창(金斗昌)
재질 화강암
크기 111㎝[높이]|41.5㎝[너비]|18㎝[두께]
소유자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관리자 기장초등학교
건립 시기/일시 1910년 2월연표보기 - 구연호 영세불망비 건립
현 소재지 기장초등학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개항기 기장 군수 구연호(具然浩)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대한제국 말 마지막으로 기장 군수를 역임한 구연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910년 2월 김두창(金斗昌)이 건립하였다. 구연호가 기장 군수에 임명된 연도는 정확하게 알기 어려우나, 1906년을 전후하여 부임한 홍재규(洪在圭)의 후임으로 추측된다.

[위치]

구연호 영세불망비(具然浩永世不忘碑)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번지 기장초등학교 앞에 있다.

[형태]

비의 재질은 화강암이며, 비신(碑身)의 크기는 높이 111㎝, 너비 41.5㎝, 두께 18㎝이다. 대석(臺石)은 방부(方趺)로 크기는 가로 84㎝, 세로 55㎝이다. 비문은 해서체이다.

[금석문]

비문에는 “행군수 구연호 영세불망비. 학문을 권장하고 풍속을 격려하며/ 옛 정신을 되살려 새 풍토 이루었네/ 오로지 한결같이 덕치에 전념하더니/ 오늘 아침에 가신마냥 기억이 생생하네. 융희 4년 2월에 김두창이 세우다[行郡守具然浩永世不忘碑 勸學勵俗 溫舊達新 惟德惟一 去若玆辰 隆熙四年二月立 監督 金斗昌]”라고 적혀 있다.

[현황]

다른 공덕비들와 함께 있다. 기장군 소유이며, 기장초등학교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구연호 영세불망비는 연대가 오래되지 않았고 특별한 내용을 담고 있지는 않지만, 1910년 8월 국권 피탈로 일본의 식민지가 되면서 대한제국 마지막 기장 군수의 송덕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