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897 |
---|---|
한자 | 姜𥙿後淸德善政萬世不忘碑 |
영어의미역 | Stone Monument for Cherishing the Virtue of Gang Yuhu |
이칭/별칭 | 현감 강공유후 청덕선정만세불망비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85-7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훈식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조선 후기 기장 현감 강유후(姜𥙿後)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강유후[1606~1666]는 지방관이나 중앙관으로 재직하면서 청렴하고 강직하여 숙종 대에 청백리로 선정된 인물이다. 1652년(효종 3) 기장 현감으로 부임하여 1654년(효종 5)까지 재직하였는데, 1654년 무렵 선정을 베푼 공로를 기려 강유휴 청덕선정 만세불망비(姜𥙿後淸德善政萬世不忘碑)를 건립하였다.
[위치]
강유휴 청덕선정만세불망비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85-7번지 기장읍성 동문 터 앞에 있다.
[형태]
이수(螭首)의 정면에는 두 마리의 용이 엉켜 머리를 마주보고 있는 형상을 양각하였고, 그 사이에 구름무늬를 얕게 음각하였다. 뒷면에는 아랫부분에만 구름무늬를 얕게 음각하였으며, 꼭대기는 보주형(寶珠形)을 하고 있다. 비의 크기는 높이 112㎝, 너비 62㎝, 두께 18.5㎝이다.
[금석문]
비 앞면에 ‘현감 강공유후 청덕선정만세불망비(縣監姜公𥙿後淸德善政萬世不忘碑)’라고 새겨져 있다.
[현황]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대에 흩어져 있던 36기의 비를 현재의 위치로 옮겨 기장 공덕비군을 조성할 때, 강유후 청덕선정만세불망비도 함께 옮겨와 보호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강유후 청덕선정만세불망비는 기장 현감으로 재직한 역대 지방관이 기장현에서 펼친 행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비석이 잘 보관되어 조선 후기 지방관의 선정비를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되는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