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896
한자 姜信甲記念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Gang Singap
이칭/별칭 금조부이사강신갑기념비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 453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정은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기념비
양식 석비
관련인물 강신갑(姜信甲)
재질 비신 화강암|대석 시멘트와 자연석
크기 비석: 95㎝[높이]|32㎝[너비]|15㎝[두께]가첨석: 25㎝[높이]|53㎝[너비]|34㎝[두께]
소유자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관리자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건립 시기/일시 1935년 12월연표보기 - 강신갑 기념비 건립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 453
원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 453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기장금융조합 좌천지소 부이사 강신갑(姜信甲)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강신갑은 기장금융조합 좌천지소 부이사로 조합을 관리하면서 경비를 절약하는 등 많은 활약을 하였다. 이에 강신갑의 공적을 기념하기 위해 1935년 12월 기장금융조합 좌천지소의 지도를 받은 좌동 마을의 좌동진흥회(佐洞振興會)에서 강신갑 기념비(姜信甲記念碑)를 건립하였다.

[위치]

강신갑 기념비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 453번지에 있다.

[형태]

비석은 퇴화된 형태의 팔작지붕 모양의 가첨석(加檐石)[지붕돌]을 얹었고, 비신(碑身)은 화강암으로 만들었다. 최근 2단으로 시멘트 대석을 쌓고, 그 위에 방형의 자연 대석을 얹어 조성하였다. 비석은 높이 95㎝, 너비 32㎝, 두께 15㎝이며 가첨석은 높이 25㎝, 너비 53㎝, 두께 34㎝이다.

[금석문]

비문에는 “금조 부이사 강신갑 기념비. 빙옥 같은 맑은 지조로 금융 조합을 관리하여/ 수고로움도 잊은 채 근무하였으며/ 경비를 절약하여 풍토를 바루었고/ 닭, 돼지가 번식하고 벼보리가 풍성하여/ 우리 마을이 그 혜택을 입었다. 소화 10년[1935] 12월 일 기장금융조합 좌천지소 지도 부락 좌동진흥회가 세우다[金組副理事姜信甲紀念碑 冰玉淸操 管理金融 忘勞視務 節費矯風 鷄豚蓄息 禾麥稔豊 矧吾部落 利澤偏蒙 昭和十年十二月日 機張金融組合佐川支所 指導部落佐洞振興會立]”라고 적혀 있다.

[현황]

강신갑 기념비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 마을 회관 뒤편의 밭에 박규희 자선 기념비(朴圭熙慈善紀念碑)와 함께 세워져 있다.

[의의와 평가]

강신갑 기념비는 일제 강점기 기장금융조합의 역사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