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893
한자 嘉善大夫石隱李公墓
영어의미역 Tomb of Gaseondaebu Seokeun Yigong
이칭/별칭 가선대부 석은 이공지묘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두명리 산18-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유우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양식 원형 봉토분
소유자 개인
관리자 개인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두명리 산18-3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두명리에 있는 조선 후기 관인 석은 이공의 묘.

[위치]

가선대부 석은 이공 묘(嘉善大夫石隱李公墓)는 부산~울산 간 국도 제7호선 도로 정관 교차로의 북동쪽 언덕 끝에 있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두명리 산18-3번지이다.

[형태]

묘는 원형 봉토분으로 두 기가 존재하며 상석(床石)과 향로석을 갖추었다. 묘의 남쪽에 묘비가 세워져 있고, 앞면에 글자가 새겨져 있다. 비석은 팔작지붕 모양의 지붕돌[가첨석(加檐石)]을 얹어 장식하였다. 비석 앞에는 받침돌[대석(臺石)]이 있는데, 재질은 화강암이다. 비석의 몸체[비신(碑身)]은 높이 160㎝, 너비 51㎝, 두께 40㎝이며, 받침돌은 길이 92㎝, 너비 68㎝이다. 비석의 총 높이는 245㎝이다.

[금석문]

비에는 ‘가선대부 석은 이공지묘(嘉善大夫石隱李公之墓)[가선대부 석은 이공의 묘]’라고 적혀 있다.

[현황]

두명리 유물산포지(斗明里遺物散布地) 남쪽 언덕 끝 지점인 가선대부 석은 이공 묘의 주변에 5기의 무덤이 능선을 따라 나란히 조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가선대부 석은 이공 묘는 조선 후기에 세워진 분묘로, 이 지역 양반층의 분묘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