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852 |
---|---|
한자 | 機張將官廳 |
영어음역 | Gijang Janggwancheo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읍내로68번길 23-1[동부리 216]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재혁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조선 후기 기장현 소속 군관들의 집무소.
[개설]
기장 지역은 임진왜란 때 철저히 파괴된 탓인지 1599년(선조 32)에 현(縣)이 폐지되었고, 고을의 일부는 각기 동래현(東萊縣)과 울주군에 합속되었다가 1617년(광해군 9)에 다시 현으로 복귀되었다. 이어서 1655년(효종 6) 기장현의 전략적 중요성을 감안하여 동래 독진(東萊獨鎭)이 설치되면서 기장현은 양산과 함께 그 군병(軍兵)을 동래부(東萊府)에 합조하게 되었다. 이 무렵 동래부사 정석이 동래 장관청(東萊將官廳)을 지은 것을 보면, 기장 장관청(機張將官廳)도 이와 비슷한 시기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기장 장관청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읍내길68번길 23-1[동부리 216] 기장읍성(機張邑城) 내에 위치한다. 기장읍성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도로의 중간 지점[기장초등학교에서 남쪽으로 약 150m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
[변천]
기장 장관청은 1655년(효종 6) 동래독진이 설치되고 1669년(현종 10) 동래 장관청이 건립된 이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나 관련 사료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다. 2013~2014년에 걸친 전면 해체 보수 과정에서 발견된 상량문을 통해 1835년(헌종 원년)에 건립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형태]
기장 장관청은 공포가 없는 소로 수장(小櫨修粧)[도리와 장혀 밑에 접시받침한 집] 양식의 집이며, 홑처마에 팔작지붕이다. 원래는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였으나, 건립된 후 몇 차례의 개․보수를 거쳐 오다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변형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주택으로 사용되면서 외관은 정면 8칸, 측면 2칸으로 변형된 상태이다.
[현황]
기장 장관청은 동래부의 장관청[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과 함께 전국적으로도 남아 있는 사례가 드문 군관용 관아 건물이다. 조선 중기 이래의 간소한 굴도리식 건물로서 건축사적으로 크게 주목될 뿐 아니라 문화재적 가치도 뛰어나며, 조선 후기 부산 및 기장 지역 관아 건축의 양상을 보여주는 몇 안 되는 건축 유구(遺構)로 기장군의 역사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소중한 건축 문화재이다. 2013년~2014년에 걸쳐 전면 해체 보수를 실시한 결과 건물 내부의 대들보, 서까래, 도리, 기둥 등 주요한 구조부재 등이 원형대로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장 장관청은 2008년 12월 16일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7호로 지정·보존되어 오다가 건물의 중요성 및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5년 3월 18일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153호로 승격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기장 장관청은 동래부의 장관청과 함께 전국적으로도 그 유례가 드문 군관용 관아 건물이다. 조선 중기 이래의 간소한 굴도리식 건물로서 건축사적으로 크게 주목될 뿐 아니라 문화재적 가치도 뛰어난 소중한 건축물이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17.08.08 | [변천] 윤문 및 오류 수정 | [변경 전] 기장 장관청은 1655년(효종 6) 동래독진이 설치된 후, 1669년(현종 10) 동래 장관청이 건립된 이후 기장 장관청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나 관련 사료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다. 2013년~2014년에 걸쳐 전면 해체 보수 과정에서 발견된 상량문을 통해 1835년(헌종 5)에 건립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변경 후] 기장 장관청은 1655년(효종 6) 동래독진이 설치되고 1669년(현종 10) 동래 장관청이 건립된 이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나 관련 사료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다. 2013~2014년에 걸친 전면 해체 보수 과정에서 발견된 상량문을 통해 1835년(헌종 원년)에 건립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