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850 |
---|---|
한자 | 梵魚寺刺繡壽福文屛風 |
영어의미역 | The Folding Screen of Subokmun Embroidery |
분야 | 종교/불교,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성훈 |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후기의 병풍 그림.
[개설]
범어사자수수복문병풍(梵魚寺刺繡壽福文屛風)은 19세기 이후에 유행한 자수 병풍으로, 10폭 병풍에 각종 전서체의 ‘수복(壽福)’ 자 440글자를 자수(刺繡)로 꾸며 길상(吉祥)을 기원한 작품이다. 2008년 9월 11일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범어사자수수복문병풍은 10폭 병풍으로, 1·3·5·7·9폭의 홀수 폭에는 ‘수(壽)’ 자가, 2·4·6·8·10폭의 짝수 폭에는 ‘복(福)’ 자가 수놓아져 있다. 각 폭마다 4행 11줄의 공간이 마련되고 여기에 각각 종류가 다른 전서체(篆書體) 44자가 적혀 있다. 각 폭에 적힌 글자들 역시 모두 다르다. 결국 이 병풍에는 220종류의 ‘수’ 자와 ‘복’ 자가 적혀 있는 것이다. 각 글자는 녹색, 청색, 자색, 남색, 황색, 홍색, 백색, 흑색 등 적어도 8가지 이상의 색실로 수가 놓아져 있다.
[특징]
19세기 이후 ‘수복’의 글자를 족자나 병풍에 쓰거나 그리고 수를 놓은 작품들이 빈번하게 제작되었다. 이는 ‘수복’ 자를 반복적으로 쓴 병풍이나 족자를 집안에 펼쳐 놓음으로써 그 집안에 ‘다복 장수(多福長壽)’가 깃들기를 염원하는 길상적 목적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수복문 병풍이나 족자에는 일반 서예 작품의 경우와 달리 화려한 채색 및 장식적 요소들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범어사자수수복문병풍역시 각종의 채색 실이 사용되어 매우 화려한 느낌을 자아내고 있다.
[의의와 평가]
범어사자수수복문병풍은 장식적·길상적 성격이 강한 수복문 병풍으로 220가지에 이르는 각종 전서체의 ‘수복’ 자가 사용된 점 외에 각종의 채색 실로 화려하게 꾸며진 자수 병풍이라는 점에서 흔치 않은 작품으로 평가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