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713 |
---|---|
한자 | 朴震斗頌德碑 |
영어의미역 | Stone Monument for Honoring the Virtue of Bak Jindu |
이칭/별칭 | 동산박진두송덕비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1동 산258 동삼초등학교 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남식 |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1동에 있는 육영 사업가 박진두(朴震斗)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동산 박진두[1894~1970]는 가난한 지역 주민의 자녀 교육을 위해 학교 대지를 희사하여 목도공립심상소학교 동삼분교[현 동삼초등학교]와 동삼학원을 설립하고, 어촌계의 지도 육성을 통해 어민들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하였다. 1970년 7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자, 국회 의원 예춘호(芮春浩)를 비롯한 지역 유지들이 육영 사업에 공헌한 박진두의 공을 기려 1979년 3월 29일 동삼초등학교 입구에 박진두 송덕비(朴震斗頌德碑)를 건립하였다.
[위치]
박진두 송덕비는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1동 산258번지 동삼초등학교 정문에 있다.
[형태]
비는 직사각형 모양이며, 크기는 높이 83㎝, 너비 59㎝, 두께 21㎝이다. 높이 15㎝ 의 네모반듯한 비좌(碑座) 위에 놓여 있으며, 비석 위에 꽃 모양의 관석(冠石)을 얹었다. 이 외에 특별한 장식이나 문양이 없는 소박한 모습이다.
[금석문]
비의 제목은 ‘동산 박진두 송덕비’이며, “여기 본교의 창설자/ 이 고장 교육의 선구자/ 동산 박진두 선생님/ 일흔일곱 평생의/ 거룩하였던 얼이/ 길이 우리를 비추시리라/ 1979. 3. 29”라는 문구가 한글로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동산 박진두 송덕비 건립회의 명단이 적혀 있다.
[현황]
현재 동삼초등학교 정문 오른편에 돌과 시멘트로 만든 단 위에 있다. 비석 오른쪽 상단에 약간의 흠집이 있으나, 전반적인 상태는 양호하다. 박진두 송덕비의 오른쪽에는 1990년 7월 19일 동삼초등학교 졸업생들이 건립한 송덕비가 하나 더 있다. 이 송덕비는 재질은 오석으로 비좌와 비신(碑身), 비두(飛頭)를 합한 높이가 2m가 넘는다. 동삼초등학교가 소유,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박진두 송덕비는 일제 강점기 열악하였던 영도구 동삼동 지역의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해 공헌한 인물에 대한 기록으로, 오늘날 국립 대학을 비롯하여 각종 교육 기관이 산재해 있는 영도구의 바탕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