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465
한자 金鍾植-碑
영어의미역 Picture Monument for Kim Jongjik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영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그림비
관련인물 김종식|이시우|김규태|김정명|김외칠|정희욱
재질 화강암
소유자 금정구청
관리자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건립 시기/일시 1994년 4월연표보기 - 건립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근대 부산의 미술가 김종식(金鍾植)을 추모하는 그림비.

[건립 경위]

1994년 4월 주정이, 김해성, 이용길, 박윤성 등 생전에 김종식을 따르던 지역 미술인과 언론인 및 문화 관계자 38명이 그림비 제작을 주도하였다. 비석 소재인 화강암은 당시 진입 도로 공사 중에 나온 것을 금정구청이 제공하였고, 토지는 범어사에서 무상으로 사용 허가를 내주었다.

[위치]

김종식 그림비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 기슭에 있는 하마(下麻) 마을에 위치한다.

[형태]

거대한 화강석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김종식의 그림을 액자 형태로 결합한 외형으로 제작되었다. 비명은 미술 평론가 이시우(李時雨)의 육필인데, 이를 위해 이시우는 100여 장이 넘게 습작을 제작하여 그 중에 맘에 드는 글자들을 조합해서 음각으로 새겼다. 비문은 전 『국제 신문』 논설 주간을 지낸 김규태가 쓰고, 전체적인 디자인은 당시 부산대학교 교수였던 조각가 김정명이 하였으며, 실제 제작은 김외칠과 정희욱이 공동으로 제작하였다. 그림은 김종식의 1956년 작품 「부산항 석양」을 오석으로 화폭처럼 제작해서 새겨 넣었다.

[금석문]

비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새겨져 있다. ‘손은 그의 영혼을 대신하여 움직였다. 영혼의 황홀한 전파를 손으로 전달받아 그리고 지우고 또 문질렀다. 끈적거리는 색채들을 마치 교향악처럼 울리어 놓을 줄 알았다. 잠자기 전까지 손은 멈추지 않았다. 그의 영혼이 쉬지 않은 까닭이다. 찬란한 손은 지금도 살아 움직이고 있다.’

[현황]

금정구청에서 소유,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시비나 추모비는 많지만, 그림비로서는 부산에서 최초로 제작된 것이며, 민간 주도로 건립되었다. 한국 근대 미술의 핵심적인 작가 김종식의 화업을 기리고, 그의 예술적 성취를 대외적으로 널리 알리는 데 의의가 있는 추모비이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김** 참 멋진 그림비가 인상적이었습니다. 비문의 내용은 어느분이 쓴것인지요? 짧은 글에서 강한 인상을 받았습니다. 금정구가 이런 멋진 그림비를 제작하셨음에 감사합니다.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0.03.06
ㅇ* 화가 한자 이름이 정보하고 달라요. 수정해주세요.
  • 답변
  • 디지털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확인 후 수정하였습니다.
2019.01.22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