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455
한자 火浦
영어의미역 Hwapo
이칭/별칭 화사을포,불살개
분야 역사/전통 시대,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고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고리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변광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포구
관련문헌 『기장현 읍지(機張縣邑誌)』
비정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고리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고리에 있던 조선 시대의 포구.

[개설]

기장의 남동쪽은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명승지와 포구가 많은 편이다. 기장의 바다는 해안선이 단조로운 이수 해안(離水海岸)[육지가 융기하거나 해면이 낮아져 이전의 해저 퇴적면이나 해식대가 해면 위에 나타나 이수 해안 평야 또는 이수 해식대를 형성한 해안]이다. 이러한 해안선을 중심으로 어업 활동이 이루어지면서 기장의 독특한 ‘갯마을’ 즉 포구가 형성되었다. 그중에 기장을 대표하는 포구를 기장 구포(機張九浦)라고 한다. 화포(火浦)기장 구포 중 하나이다.

[명칭 유래]

화포의 원래 명칭은 화사을포(火士乙浦)이었다. 화사을포의 화(火)는 ‘불’이고, 사을(士乙)은 ‘살[光]’이며, 포(浦)는 ‘개’이므로 ‘불살개’라고도 하였다. 이는 화포의 지형과 관련이 있다. 화포는 기장현의 가장 북쪽 지역에 있는 화철령(火鐵嶺)[기장군 장안읍 명례리 신명 마을경상북도 울주군 온양면의 경계]이 동남쪽으로 뻗어내려 바다에 접한 곳에 위치한다. 마치 동트는 새벽의 붉은 햇살이 비추는 갯가처럼 보여 화포라는 이름으로 불렀던 것이다.

[위치 비정/행정 구역상의 구분]

화포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고리에 있었다. 이곳은 기장군 장안읍용소천이 흘러서 바다로 유입되는 지점이다.

[관련 기록]

『기장현 읍지(機張縣邑誌)』 산천조에 “화포는 현의 동쪽 30리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