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442
한자 廣利橋
영어의미역 Gwangri-gyo Bridge
분야 역사/전통 시대,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고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종봉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량
관련문헌 『여지도서(輿地圖書)』|『기장현 읍지(機張縣邑誌)
제정 시기/일시 1758년연표보기 - 건설
폐지 시기/일시 1771년연표보기 - 붕괴
비정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읍성에 있던 조선 시대의 다리.

[명칭 유래]

광리교(廣利橋)는 ‘광리(廣利)’, 즉 널리 이롭게 한다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기장읍성 현청과 남문 사이에 용소골에서 발원한 계곡물이 흘러가는 큰 하천이 있었다. 이 하천으로 읍민들이 불편하였는데, 광리교가 건설됨으로써 하천을 건너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었다. 광리교는 비문에 “그 은혜 두루 미쳐 공덕도 넉넉하다”라고 기록된 것을 통해 유래를 알 수 있다.

그리고 광리교는 시기에 따라 명칭이 다양하게 불렸다. 광리교는 조선 전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나타나지 않지만, 조선 후기의 『여지도서(輿地圖書)』[1759, 영조 35] 기장현조와 『기장현 읍지(機張縣邑誌)』에 모두 광리교로 기록되어 있다.

[형성 및 변천]

광리교는 『여지도서』 기장현조에 “성의 남문 안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반면 『기장현 읍지』[신묘식, 1832, 순조 32]에는 “현 성의 남문 내에 있다. 홍교 이미 무너졌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기장현 읍지』[을묘식, 1855, 철종 6]에는 “성의 남문 내에 있는데, 정축 봄에 읍 사람 송세흥이 100여 금(金)을 희사하여 만들었다. 홍교는 이미 무너졌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기장군 기장읍 비석군 내에 있는 청강교 비(淸江橋碑)의 비문에 “기장현이 설치된 것이 유래가 이미 오래되었지만, 하천에 다리를 고치는 일이 고질적인 폐단이다. 매해마다 무너진 것을 수리할 때면 많은 사람들이 모두 이 일에 뜻을 두어 석교를 만들고자 하였다. 사물이 적당한 때를 만나지 못하였고, 때도 역시 적당한 사람을 만나지 못하여 누구도 팔을 걷고 나서지 못하였던 것이다. 오늘날에야 박창희가 이 일을 개탄하여 모금하고 권면하며 선도하여 큰일을 시작하였고, 송세흥이 재산을 내어 이 일을 도와 그 업적을 마치게 되었다. 위대하구나! …… 대시주 가선 송세흥 건륭 23년[1758] 무인년 3월 일”이라고 적혀 있다.

따라서 청강교 비문에 의하면 청강교는 1758년(영조 24)에 건립되었고, 광리교는 『여지도서』 기장현조에 의하면 이듬해에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으므로 청강교가 광리교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장유풍 현감 때 세운 수각교 중축문비(水桷橋重築文碑)에는 “이 다리 아래로 큰 하천이 길게 뻗었다. 건륭 무인년[1758]에 돌을 깎아 얹었으나, 14년 후인 1771년(영조 47)에 무너졌고, 여러 상황이 어려워 다시 복구하지 못해 기장읍민들이 관청을 드나드는 것조차 어렵게 되었는데, 여러 재정으로 평교로 복원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그때가 함풍 5년[1855, 철종 6]이므로, 광리교[청강교]는 수각교로 명칭이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기장읍지(機張邑誌)』[경오식, 1870, 고종 7]에서 “수계교 일명 광리교라 하는데, 성의 남문 안에 있다. 옛날에는 홍교라 하였는데, 지금은 돌로 만든 평교이다”라고 한 내용과 일치하고, 「차성가(此城歌)」에서 “수계교 맑은 물은 완사수 되단 말가”라는 내용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따라서 광리교는 홍교로 기장읍성 내에서 남문으로 가는 중요한 다리이었고, 건설 후 곧 무너졌음을 알 수 있다.

[위치 비정/행정 구역상의 구분]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읍성 남문 터에 있었다.

[관련 기록]

『여지도서』에는 “성의 남문 안에 있다[廣利橋 在城南門內]”, 『기장현 읍지』[1832]에는 “현성의 남문 내에 있다. 홍교 이미 무너졌다[廣利橋 在縣城南門內 虹橋今頹毁]”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기장읍지』[경오식, 1870]에는 “수계교 일명 광리교라 하는데, 성의 남문 안에 있다. 옛날에는 홍교라 하였는데, 지금은 돌로 만든 평교이다[繡溪橋 一名廣利橋 在城南門內 舊虹橋 今石平橋]”라고 되어 있다. 이외에 청강교 비문과 수각교 중축문비에도 실려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