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335
한자 兪炳溫
영어음역 U Byeongon
분야 문화·교육/교육,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근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육자
성별
본관 기계
대표관직|경력 부산맹아학교 교장
출생 시기/일시 1915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53년 - 서울맹아학교 부산분교 설립
활동 시기/일시 1957년 7월 - 공립부산맹아학교 교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68년 - 제4대 한국특수교육협회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69년 - 세계맹인복지위원회 정회원 교육 부문 한국 대표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69년 - 제6회 용신 봉사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72년 - 제15회 부산시 문화상 수상
몰년 시기/일시 1974년 11월 2일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10년 5월 3일 - 유병온 흉상과 사도비 건립
거주|이주지 부산 - 부산광역시지도보기
수학|강학지 이화여자전문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 11-1
수학|강학지 부산맹아학교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 787지도보기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특수 교육 전문가.

[활동 사항]

유병온(兪炳溫)[1915~1974]은 기계 유씨(杞溪兪氏)로, 유길준(兪吉濬)의 후손이다. 1936년 이화여자전문학교[현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일찍이 장애인을 위한 특수 교육에 관심을 갖고 국립맹아학교 교사가 되었다. 6·25 전쟁 발발 후 서울에 있던 국립맹아학교가 피난지인 부산으로 옮겨 가자 유병온도 함께 내려갔다. 전쟁이 끝난 직후인 1953년 8월 본교는 서울로 돌아갔으나 유병온은 부산에 남아 한 달 뒤 안영환(安永歡)과 함께 서울맹아학교 부산분교[부산배화학교 전신]를 세워 35명의 학생을 가르쳤다. 서울맹아학교 부산분교는 1955년 9월 공립부산맹아학교로 승격되고, 1957년 중등과가 추가되었다. 그해 7월 유병온은 초대 교장에 취임하였다.

유병온은 항상 주변의 어려운 사람을 도왔으며 불우한 청각 장애 어린이들을 교육하기 위해 성덕원을 설립하기도 하였다. 또한 맹농아합주단을 만들어 장애아 교육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1968~1970년 제4대 한국 특수교육협회 회장을 지냈고, 1969년 세계맹인복지위원회 정회원 교육 부문 한국 대표로 선출되었다. 1974년 병으로 퇴임한 뒤 그해 11월 2일 세상을 떠났다.

[상훈과 추모]

1969년 제6회 용신 봉사상, 1972년 제15회 부산시 문화상을 수상하였고, 우량 공무원 표창을 네 번이나 받았다. 2010년 대구대학교가 경산캠퍼스에 특수 교육 역사관을 개관하여, 한국 특수 교육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인물 14명을 선정하였는데, 유병온도 여기에 포함되었다. 14명의 명단은 유병온을 비롯하여 세종대왕(世宗大王), 옥보을[Joseph Borer Wilbur], 유길준(兪吉濬), 로제타 셔우드 홀(Rosetta Sherwood Hall), 정규순(鄭奎淳), 박두성(朴斗星), 이태영(李泰榮), 이영식(李永植), 최병문(崔秉文), 이방자(李方子), 이기수, 윤백원(尹伯元), 안병즙(安秉輯) 등이다. 부산배화학교 기숙사 옆에 유병온의 흉상과 사도비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