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281 |
---|---|
한자 | 大方廣佛華嚴經卷四十一 |
영어의미역 | The Avatamska Sutra vol.41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부민동 2가 1]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조경시 |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고려 후기 화엄경 사경.
[편찬/간행 경위]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권41은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소조 보살 좌상의 복장 유물 중 하나이다. 사경의 첫 부분이 결실되고 사성기도 없어 사성 연도는 알 수 없으나,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경기도 안성 청원사(淸源寺) 본존불 복장 유물인 『감지은니화엄경』 권41과 ‘1행 17자’의 형식 및 서체가 거의 같은 것으로 보아 같은 시기에 사경한 것으로 보인다. 『감지은니화엄경』 권 제41의 발문에는 사성 시기가 1324년(충숙왕 11)으로 되어 있다. 2007년 9월 7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서지]
대방광불화엄경 권41은 감색의 닥나무 종이에 은니(銀泥)로 쓴 두루마리 형식의 화엄경 사경이다. 1첩 1행 17자 형식으로, 크기는 27.0×11.2㎝이다.
[구성/내용]
화엄경은 석가세존이 보리수 아래서 깨달음을 얻은 후, 제자인 문수와 보현에게 그 깨달음의 경지를 설명한 경전이다. 대방광불화엄경 권41은 화엄경의 3가지 한역 경전 가운데 80권 본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된 대방광불화엄경 권41은 십정품(十定品)에 해당된다. 이 부분은 묘한 큰 삼매를 설명하는데, 여러 부처 국토에 차례로 가는 삼매, 청정하고 깊은 마음의 행인 넓은 광명 큰 삼매, 과거의 장엄한 갈무리를 아는 큰 삼매, 지혜 광명의 큰 삼매, 모든 세계 부처님의 장엄을 아는 삼매를 설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방광불화엄경 권41은 고려 후기 사경 양식과 서체를 추측할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