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240 |
---|---|
한자 | 慶尙左水營各庫穀物錢布加入用下蓄積成冊 |
영어의미역 | Record of Grain and Currency at Gyeongsang Jwasuyeong Garriso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화진 |
[정의]
조선 후기 경상좌수영의 재정에 관하여 기록한 장부.
[편찬/간행 경위]
『경상좌수영 각 고 곡물 전포 가입 용하 축적 성책(慶尙左水營各庫穀物錢布加入用下蓄積成冊)』은 1879년(고종 16)과 1881년에 경상좌수영 관할 소속 창고의 곡물(穀物)·전(錢)·포(布)에 대한 추가 수입, 지출 및 당시 잔고를 명기한 책이다.
[형태/서지]
『경상좌수영 각 고 곡물 전포 가입 용하 축적 성책』은 필사본 형태의 고도서이다. 1879년 것은 책의 표지 머리에 ‘광서오년칠월일(光緖五年七月日)’이라 적혀 있고 어미에 경상좌도수군절도사와 수결이 있다. 1책[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책 크기는 45.8×32.4㎝이다.
1881년에 쓰여진 것은 책 표지 머리에 ‘광서칠년오월일(光緖七年五月日)’이라 적혀 있고, 어미에 ‘절충 장군 경상좌도 수군절도사 한(折衝將軍慶尙左道水軍節度使韓)’과 수결이 있다. 1책[3장]으로 구성되며, 책 크기는 41.5㎝×30.4㎝이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으며, 1879년 본의 도서 번호는 ‘규 16797’, 1881년 본의 도서 번호는 ‘규 16270’이다.
[구성/내용]
기재 양식은 각 창고별로 나누어 먼저 품목을 적고 이에 대한 수입·지출량 및 내역, 시기 등을 기록하고 다시 당시의 재고량을 명기하는 방식이다. 두 책은 창고의 기재 순서가 뒤바뀌었을 뿐, 나머지는 전적으로 동일하게 기재되어 있다. 경상좌수영 소속 창고로는 군창(軍倉), 군향(軍餉), 병선(兵船), 군기(軍器), 공고(工庫), 별조고(別造庫), 진창(賑倉), 영수고(營需庫), 지창(紙倉) 등 9곳이 기록되어 있다. 품목은 쌀[米], 콩[太], 조(租), 전(錢), 군목(軍木), 감곽(甘藿)[미역] 등이다. 특히 군창의 경우 경상좌수영 관할 소속의 둔답(屯畓)·전(田)의 면적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경상좌수영 각 고 곡물 전포 가입 용하 축적 성책』은 조선 후기 경상좌수영을 비롯한 지방 군대의 재정 상황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