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한상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218
한자 韓尙東
영어음역 Han Sangdong
분야 종교/기독교,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이상규 1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종교인
성별
대표경력 고신대학교 학장
출생 시기/일시 1901년 7월 30일연표보기 - 출생
출가|서품시기/일시 1937년 12월 7일 - 목사 안수 받음
수학 시기/일시 1933년 - 평양신학교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37년 - 평양신학교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40년 7월 3일 -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45년 8월 17일 - 석방
활동 시기/일시 1946년 3월 - 월남
활동 시기/일시 1946년 9월 20일 - 고려신학교 설립
활동 시기/일시 1946년~1951년 - 초량교회에서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51년 10월 - 삼일교회 개척
활동 시기/일시 1954년 - 『주님의 사랑』 출간
활동 시기/일시 1970년 - 『신앙 세계와 천국』 출간
활동 시기/일시 1972년 - 은퇴
몰년 시기/일시 1976년 1월 6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경상남도 김해시
학교|수학지 피어선성경학교 - 서울특별시
학교|수학지 평양신학교 - 평양특별시
활동지 부산광역시
활동지 경상남도 창원시

[정의]

부산 고신대학교를 설립한 목회자이자 신학 교육자.

[활동 사항]

한상동(韓尙東)[1901~1976]은 1901년 7월 30일 경상남도 김해에서 태어났다. 한상동의 활동은 네 가지로 정리될 수 있는데, 첫째는 일제하에서의 신사 참배 강요에 대한 저항과 반대 운동[1936년~1945년], 둘째는 8·15 광복 후 경남노회를 중심으로 전개된 교회 쇄신 운동[1945년~1952년], 셋째는 초량교회·삼일교회를 중심으로 한 목회 활동[1946년~1972년], 넷째는 고려신학교[현 고신대학교] 설립과 신학교육 활동[1946년~1974년] 등이었다.

일제는 소위 대동아 공영권 확보라는 이름 아래, 전시 체제로 돌입하고 한국인에게도 신사 참배를 요구하였는데, 한상동 목사는 이를 우상 숭배 강요라고 보아 반대하였다. 1937년 10월 24일에 “현 정부는 정의 및 신의(神意)에 위반한 우상인 신사 참배를 강요하는데, 참배할 수 없다.”고 선언하고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결국 1940년 7월 3일 체포되어 경상남도 경찰부 유치장에 투옥되어 5년간 옥중에서 투쟁하였다.

1945년 8월 17일 평양감옥에서 석방된 한상동은 이듬해 3월 월남하였고, 부산·경상남도 지역, 곧 경남노회를 중심으로 친일 청산이라고 할 수 있는 교회 정화와 쇄신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를 위해 1946년 9월 20일에는 고려신학교를 설립하고 목회자를 양성하여 교회 개혁을 시도하였다.

한상동이 가장 오랫동안 심혈을 기울인 것은 교회를 돌보는 목회 활동이었다. 즉 1928년부터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 학림리에서 개척 전도자로 일하기 시작하여 평양신학교[1933년~1937년]에서 수학한 후 초량교회, 마산 문창교회에서 목사로 일하였다. 8·15 광복 후에도 약 5년간 초량교회[1946년~1951년]에서 일하였고, 1951년 10월에는 삼일교회를 개척하여 1972년 은퇴할 때까지 목회자로 활동하였다. 1976년 1월 6일 부산에서 세상을 떠났다.

[사상과 저술]

한상동의 신학은 정통주의 신학이었다. 이는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대안으로 인식되었다. 한상동은 경험적으로 정통 보수 신학을 신봉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신사 참배가 요구되었을 때에 자유주의 신학은 매우 순응적이었다. 즉 한상동은 자유주의 신학은 현실 타협적인 신학으로 보아 이를 배격한 것이다. 이 점은 고려신학교 설립 때 발표하였던 ‘고려신학교 설립 취지서’에도 잘 나타나 있다. 한상동은 자유주의 신학은 불신앙의 신학으로, 정통 신학은 성경 진리의 신학으로 간주하였다.

대표적인 저술로는 옥중 경험을 기록한 『주님의 사랑』[1954]이 있고, 여러 편의 논설 혹은 설교가 남아 있다. 편집된 설교집으로는 『신앙 세계와 천국』[아성출판사, 1970], 유고집 『고난과 승리』[고려신학대학, 1980]가 있다. 그 외의 대표적인 논설로는 「현하 대한교회에」상[『파수군』2, 1950]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