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209 |
---|---|
한자 | 釜山監理署 |
영어음역 | Busan Gamniseo |
이칭/별칭 | 동래감리서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대영로226번길 15[영주동 582-2] 봉래초등학교 부근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하지영 |
[정의]
개항기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에 있었던 외교·통상 관련 관청.
[설립 목적]
개항 이후 개항장에서의 외교·통상 관련 업무량이 늘어나자 정부에서는 1883년 관련 사무를 전문적으로 처리할 기구로 부산과 원산, 인천 등 3개의 개항장에 감리를 두게 되었다. 부산감리서는 초기에는 동래 부사가 감리를 겸임하면서 기존의 행정 체계 안에서 업무를 처리하였으나, 이후 계속해서 개항장의 사무가 증가하면서 1890년 감리를 따로 파견하여 독립된 관서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변천]
1890년 독립된 관공서로 설치된 부산감리서는 1895년 지방 제도의 개편으로 폐지되었다가 1896년 다시 설치되었고, ‘을사조약’이 체결된 다음해인 1906년 2월 통감부가 설치되면서 폐지되었는데, 그 업무는 부산이사청으로 이관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감리서는 부산항 상품의 진출이나 세액의 과다를 검사하여 탁지부와 외부로 보고하고, 외국인 거류지 내의 거주자와 왕래하는 상인을 보호하고 상무를 감독케 하는 한편, 부산항의 상업·치안 질서를 유지하는 등 부산항 내의 모든 사무를 관장하였다. 특히 부산항에 주재하는 각국 영사관과의 교섭은 그 핵심적인 업무였는데, 통상 교섭 사무에 관한 한 목사나 부윤에 대해서도 훈령하고 지령할 수 있었다.
[현황]
부산감리서는 지금의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 582-2번지의 봉래초등학교 부근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지금은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의의와 평가]
부산감리서는 개항기 부산항의 일반 사무 및 외교 사무를 관장했던 관청으로, 외국 영사관과의 교섭 과정에서 조선인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