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182
한자 裵晋曦
영어음역 Bae Jinhi
이칭/별칭 욱여(旭汝),통암(通庵)
분야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유영옥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학자
성별
본관 분성
출생 시기/일시 1824년연표보기 - 출생
몰년 시기/일시 1886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가락동 죽동리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
거주|이주지 가락동 죽동리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
묘소|단소 배진희 묘 -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면 삼문리 월산동

[정의]

조선 후기 부산 출신의 성리학자.

[가계]

본관은 분성(盆城). 자는 욱여(旭汝), 호는 통암(通庵). 분성군(盆城君) 배원룡(裵元龍)의 20세손이며, 제주 목사 배극수(裵克壽)의 15세손이다. 부인은 덕수 이씨(德水李氏)로, 통정대부 이방수(李邦秀)의 딸이다.

[활동사항]

배진희(裵晋曦)[1824~1886]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 죽동리 송산 마을 출신이다. 김해 지역의 이름난 성리학자로 지역 유림인 허인, 안민중(安珉重), 노수용(盧壽容), 안석원(安碩遠), 송은성(宋殷成), 홍병일 등과 교유하면서 향풍을 크게 일으켰다.

[학문과 저술]

배진희는 사서(四書)와 육경(六經)에 두루 밝았으며, 특히 『주역(周易)』에 통달하였다.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9세손인 계당(溪堂) 유주목(柳疇睦)[1813~1872]을 가르쳤다. 근기 실학(近畿實學)의 대가인 성재(性齋) 허전(許傳)[1797~1886]이 1864년부터 3년간 김해 부사로 재임할 때, 영남 각지에서 수백 명의 유생이 찾아와 배웠는데 배진희도 이때 가르침을 받았다. 통암이라는 호도 허전이 지어 준 서실(書室)의 이름이었다. 낙동강을 노래한 「삼차풍범(三叉風帆)」과 김해의 절경을 읊은 「금릉 팔경시(金陵八景詩)」를 비롯하여 문집 3권이 전한다.

[묘소]

배진희의 묘는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면 삼문리 월산동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