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103 |
---|---|
한자 | 釜山浦草梁和館地圖 |
영어의미역 | Map of Busan-po Choryang Hwagwa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하지영 |
[정의]
[형태 및 구성]
「부산포 초량 화관 지도(釜山浦草梁和館地圖)」는 채색 필사본이며, 크기는 58.5×1,003㎝로 긴 두루마리 그림이다. 서쪽의 송도 해안부터 동쪽의 부산진성까지 그려져 있으며, 그림의 중심은 초량 왜관이다.
[특징]
「부산포 초량 화관 지도」에는 왜관 내 건물의 모습과 주변 정경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부산항 방파제가 석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선박들이 정박하여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영도가 원경으로 그려지고 오륙도가 촛대 바위식으로 표현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인데, 영도에는 마을과 선창이 있고 목장에는 말이 그려져 있다. 왜관은 용두산을 경계로 동관과 서관으로 구분되며, 왜관 북쪽으로는 조선 국왕의 전패를 모시는 초량 객사와 일본 사신에게 향연을 베푸는 연향 대청(宴享大廳), 동래 부사 조선 측 관원의 숙소인 유원관(柔遠館), 역관 숙소인 성신당(誠信堂) 등의 초량 왜관과 그 주변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왜관 안을 걷고 있는 일본인 복장은 기모노 차림에 허리에 칼을 차고 있다. 이외에도 두모포, 적기, 오륙도의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 당시 조선의 회사품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던 매를 잡는 일본인들의 모습도 묘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포 초량 화관 지도」는 18세기 중엽 당시 초량 왜관의 모습이 비교적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