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091 |
---|---|
한자 | 廣輿圖東萊府地圖 |
영어의미역 | Gwangyeodo Map of Dongnae-bu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변광석 |
[정의]
19세기 초에 제작된 『광여도』에 수록된 동래부 지도.
[개설]
현재 부산의 고지도는 행정 구역상 동래부 지도와 기장현 지도를 모두 포함한다. 그중에서 『광여도(廣輿圖)』는 19세기 초에 그렸지만 내용은 18세기 전반의 상황을 반영하였다. 이 무렵은 전국적으로 읍지와 지도 제작이 활발하던 시기였다.
[형태 및 구성]
『광여도(廣輿圖)』 「동래부 지도(東萊府地圖)」는 채색 필사본 지도로, 크기는 가로 28.3㎝, 세로 37㎝이다. 동래부를 크게 읍치와 좌수영으로 구분해 놓았다. 각 면은 동면, 남촌면, 북면, 서면, 동평면, 사천면 상단, 사천면 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수영을 중심으로 한 포구와 부산진 일대의 포구 및 서평진, 다대진 등 군진(軍鎭)이 빠짐없이 표시되어 있다. 이어서 휴산역(休山驛)과 소산역(蘇山驛) 등 역제(驛制)와 십휴정 기찰(十休亭譏察) 등 무역품 검문소가 표시되어 있다.
[특징]
『광여도』 「동래부 지도」는 채색과 구도가 정교하고 비교적 상세하게 묘사된 지도로서, 자(子)·묘(卯)·오(午)·유(酉)의 사방 경계가 명확하다. 특히 동래부 전체를 그린 지도임에도 불구하고 연향청, 객사, 훈별소 등 왜관(倭館) 일대의 건물 묘사가 상세한 점이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광여도』 「동래부 지도」는 18세기에 제작된 군현 지도집이 민간에 유출되면서 제작된 것으로, 동래부의 정보가 매우 상세하기 기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