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997 |
---|---|
한자 | 釜山市民憲章碑 |
영어의미역 | Monument of Charter for Busan Citizens |
이칭/별칭 | 시민 헌장비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999[연산5동 1000]|사하구 하신번영로300번길 91[하단동 786-1]|영주동 218-20|해운대구 달맞이길 190[중동 산42-20]|중구 용두산길 35-18[광복동 2가 1-2]|영도구 감지해변길 81[동삼동 산19-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표용수 |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5동에 있는 부산광역시청 시민 광장 등 6개 지역에 세워진 기념비.
[건립 경위]
1963년 부산직할시 승격을 앞두고 부산 시민의 정체성을 담아내고 부산의 위상과 역동성의 근원을 실현하기 위하여, 1962년 8월 15일 부산시가 「부산 시민 헌장」을 공포하면서 구 부산시 청사 입구에 부산 시민 헌장비를 건립하였다. 1998년 1월 부산시청이 연제구 연산동 청사로 이전하면서 부산시청 앞 시민 광장에 다시 세웠다. 이후 2005년 10월 5일 문안을 개정하여 교체하였다.
[위치]
부산 시민 헌장비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5동 1000번지 부산광역시청 앞 시민 광장 분수대 옆에 세워져 있다. 이외에도 사하구 하단동 786-1번지 에덴 공원 정상, 중구 중앙동 영주동 218-20번지 중앙 공원 광장, 해운대구 중동 산 42-20번지 달맞이 고개 해월정 광장, 중구 광복동 2가 1-2번지 용두산 공원 내 주차장 뒤쪽 화단, 영도구 동삼동 산19-1번지 태종대 유원지 내 산책로에 세워져 있다.
[형태]
부산광역시청 시민 광장에 있는 부산 시민 헌장비[1998. 1. 20 설치]는 높이 1.7m, 가로 1.55m, 세로 1.7m의 화강암 동판에 새겨져 있다. 에덴 공원에 있는 부산 시민 헌장비[1985. 12. 15 설치]는 높이 1.8m, 가로 0.9m, 세로 0.5m의 화강암 동판에 새겨져 있다. 중앙 공원에 있는 부산 시민 헌장비[1985. 8. 29 설치]는 높이 2.4m, 가로 1.4m, 세로 2.4m의 화강석 입석에 새겨져 있다. 달맞이 고개 해월정 광장에 있는 부산 시민 헌장비는 높이 1.4m, 가로 0.79m, 세로 1.4m의 화강암 동판에 새겨져 있다. 용두산 공원에 있는 부산 시민 헌장비[1986. 7. 10 설치]는 높이 3.8m, 가로 2m, 세로 2.8m의 화강석 입석에 새겨져 있다. 태종대 유원지에 있는 부산 시민 헌장비[1986. 4. 28 설치]는 높이 2.4m, 가로 1.3m, 세로 1.3m의 화강석 받침대 위 원형 화강암에 새겨져 있으며, 받침대 폭이 6.6m, 조형물 높이 4.66m이다.
[현황]
6개 지역에 세워진 부산 시민 헌장비는 부산광역시장이 소유,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 시민 헌장비는 부산 시민들의 진취적 기상과 주인 의식을 일깨우고, 미래를 개척하여 건실한 경제적 기반 위에 지역 번영을 이루어 인류 평화에 이바지하는 세계 도시로 뻗어 나가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