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916 |
---|---|
한자 | 中日戰爭 |
영어의미역 | Sino-Japan War|Second Sino-Japanese War |
이칭/별칭 | 지나사변,북지사변,중국항일전쟁,제2차 중일전쟁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인호 |
[정의]
1937년 발발한 중일 전쟁 시기 부산 지역의 상황.
[역사적 배경]
중일 전쟁은 1937년 7월 7일 베이징[北京] 교외의 루거우차오[蘆溝橋] 사건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베이징·톈진[天津]을 점령한 일본은 상하이[上海]에 상륙하고 1937년 12월에는 난징[南京]을 점령하여 수십만의 중국인을 살육하는 등 전쟁의 전 기간에 걸쳐 중국인 1200만 명을 죽이는 등 반인륜적 전쟁 범죄를 일삼았다.
[경과]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부산부는 먼저 부산을 전쟁에 적응하여 효율적으로 자원과 인력을 동원할 수 있는 행정 구역을 만들고자 하였다. 이에 1937년 「시가지 계획령 시행 세칙」을 제정하고, 1942년 10월부터 제2차 행정 구역 개편을 단행하였다. 한편으로 중일 전쟁은 부산항과 경부선 철도의 비중을 높여, 부산~북경 간의 직통 열차[1938년]와 경경선(京慶線)[현 중앙선, 1942년]이 개통되었다. 이에 중국 동북과 관내, 몽고 지역의 중요 물자 들이 부산항으로 모여들었고, 교역의 격증으로 한때 일본 본토와의 이출입에서 발생한 적자를 만주국이나 중국에서 해소하는 등의 성과를 보기도 하였다. 해운 확장을 위해 부산부는 남빈[자갈치 시장]과 남항 등 해안의 매축 공사, 적기 등지에 방파제 공사를 진행하였다.
전쟁은 부산의 기업가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주었다. 부산공업구락부 소속의 위원들은 적극적인 물자 통제와 공업화를 요구하는 한편 국방헌금이나 헌납에 적극적이었다. 부산의 자본가 김지태(金智泰)가 1943년 부산주철공업합자회사를 인수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이러한 노력이 바탕이 되었다. 일반 부산부민을 비롯하여 맹인, 형무소 재소자 나아가 가난한 부인까지 정성을 모아 헌금구락부를 만들고 국방을 위해 헌금하였다.
이러한 헌납의 열풍으로 중일 전쟁이 난 후 7월 20일경 부산에서만 헌금이 11만 여원에 달하였다. 또한 1938년 6월 이후 부산과 경상남도 각지에서 비행기를 헌납하였다. 물론 이 가운데 상당수는 부산부의 지시나 지역 유지들의 헌금 헌납으로 이뤄진 것이었지만, 취업의 확대라는 현실적인 이해와 관련된 것도 있었다. 1939년 무렵부터 부산 지역에는 일자리가 속출하면서 청년 실업은 급속히 해소되고 있었던 것이다.
전쟁 특수로 인해 부산에서는 회사의 수가 급증했는데, 1937년 101개이던 사업장이 1941년 195개가 되었다. 하지만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자재난으로 물자 통제가 심해지면서 경영난이 닥쳐왔다. 결국 많은 사업장이 휴업 또는 폐업하게 되고, 실업자가 늘어나게 되었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전쟁 특수와 운송 체계의 확대로 인해 중일 전쟁 기간에 부산 지역은 외연적인 팽창을 경험하였다.
[결과]
중일 전쟁은 부산 주민에게 ‘친일=성장’이라는 착시를 초래하였다. 이에 전쟁 특수에 대한 기대로 투자 의식이 증대되어, 동남아와 만주국 등 새로운 시장을 겨냥한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었으며, 전쟁으로 인해 취업 기회가 늘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중일 전쟁으로 조선인은 무참한 동원의 기로에 섰다. 중소기업은 기업 정비나 전업이 종용되고, 물자 공출이나 금속 공출로 제대로 이윤분기점을 지키는 기업이 드물었다. 기대를 안고 국외 취업을 해도 강제 저축이나 송금 유보 등으로 실질적인 벌이가 시원치 않았다. 중일 전쟁 하의 부산은 전쟁 특수라는 심각한 착시 현상 아래 너나없이 친일 대열로, 혹은 강제 동원의 대열로 내몰리던 시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