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896 |
---|---|
한자 | 大東水門 |
영어의미역 | Daedong Floodgate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주경업 |
[정의]
1934년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과 김해시 대동면 경계에 설치한 수문.
[건립 경위]
대동 수문[완공 당시에는 대저 수문(大渚水門)이라 하였다가 이후 개칭]은 물난리에 취약했던 낙동강 삼각주 지대를 비옥한 충적토 지대로 바꾸기 위한 치수 사업을 실시하기 위해 1934년 3월 완공되었다. 즉 김해 평야의 관개용수 조절 및 낙동강 선박 출입과 홍수 방지 조절을 위하여 건립되었다.
[변천]
1934년 설치 당시 대동 수문은 사람의 힘으로 핸들을 조작하는 수동식이어서 조작이 불편하고 열고 닫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조절에 불편함이 많았다. 1987년 대동교를 재가설하면서 수문도 전동식 자동 조절 장치로 개조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해졌다.
[구성]
낙동강 하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과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의 경계지점인 동낙동강과 서낙동강이 나누어지는 분기점에 총길이 16m, 높이 7m의 수문 3연(連)을 두었다. 대동 수문 가설로 혜택을 보는 저수 면적은 109.59㎢이다.
[현황]
1987년 12월부터 1988년 10월까지 총연장 40m, 폭 20m가 되게 다시 가설하였다. 대동 수문에서 하구의 녹산 수문에 이르는 서낙동강은 김해 평야의 동맥으로 길이가 18㎞, 폭이 400m인데 대저1동 양수장에서 관개용수를 공급하고 기락동 식만리 양수장에서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