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상남도 동래군 범어사 건물 전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617
한자 慶尙南道東萊郡梵魚寺建物全圖
영어의미역 Map of Beomeosa Temple Buildings in Dongnae-gun, Gyeongsangnam-do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지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작가 나카무라 이사무
제작 시기/일시 1910년~1918년연표보기 - 제작
현 소장처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정의]

1910년대 제작된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의 건물 전도.

[개설]

『범어사지(梵魚寺誌)』에 수록된 「경상남도 동래군 범어사 건물 전도(慶尙南道東萊郡梵魚寺建物全圖)」는 1910년대 나카무라 이사무[中村勇]에 의해 측량도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건물의 세부적인 표현보다 건축물의 규모와 함께 대지의 형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형태 및 구성]

「경상남도 동래군 범어사 건물 전도」는 세로[전도의 남북] 52.6㎝, 가로[전도의 동서] 38.6㎝의 크기에 1910년대 범어사의 건물과 배치를 그린 지도이다. 전도의 남북을 중심으로 펼쳤을 때, 향우측 중단에 세로로 ‘경상남도동래군범어사건물전도’라고 쓰여 있다. 더불어 향좌측 상단과 향우측 하단에도 세로로 많은 글자가 적혀 있다. 향우측 하단에서부터 진행을 시작하는데, 시작을 알리는 첫 구절에 ‘건물평수(建物坪數)’라는 글귀와 ‘대웅전육십칠평이합팔작(大雄殿六十七坪二合八勺)…’ 으로 내용이 시작되는 것으로 보아 범어사 건물들의 평수를 기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특징]

「경상남도 동래군 범어사 건물 전도」는 일제 강점기에 시행한 일본의 약탈 사업 중 토지 조사 사업 명목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던 듯하다. 따라서 「경상남도 동래군 범어사 건물 전도」의 제작 연대는 1910~1918년경인 것으로 여겨진다.

[의의와 평가]

「경상남도 동래군 범어사 건물 전도」는 1910년대 범어사 경내 건물의 평수와 대지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더불어 현존하는 범어사의 또 다른 지도인 「선찰 대본산 범어사 전경도(禪刹大本山梵魚寺全景圖)」 및 일제 강점기 사진 자료들과의 비교를 통해 범어사 내 건물들의 유무와 위치 변화 등 범어사 가람 배치의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