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명륜학교 일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575
한자 明倫學校日史
영어의미역 Brief History of Myeongnyun School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도서
저자 사립명륜학교
편자 사립명륜학교
간행자 사립명륜학교
권책 1책
규격 16×23.5㎝
간행 시기/일시 1909년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동래향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235지도보기
간행처 사립명륜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지도보기

[정의]

1908년 동래부에 설립된 명륜학교의 설립 경위와 교육 과정에 관하여 기록한 책.

[편찬/간행 경위]

우리나라에서 근대 교육이 시작된 것은 개항 이후 1880년대 초부터이다. 1895년 갑오개혁으로 신학제를 실시하고, 교육 조서를 내려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학교가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동래부에서는 향교를 근대 교육의 중심으로 세워 신교육을 흡수하는 데 앞장섰다. 명륜학교는 1908년 5월 28일 일제의 교육 침탈에 대항하고 민족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동래부의 부윤을 중심으로 지역 향반 층이 발기인이 되어 설립한 교육 기관이다. 『명륜학교 일사(明倫學校日史)』는 이러한 명륜학교 설립 경위와 교육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형태/서지]

『명륜학교 일사』는 1책[83쪽]으로, 책 크기는 가로 16㎝, 세로 23.5㎝이다. 동래 향교 내 고문헌실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명륜학교 일사』는 크게 명륜학교 설립 경위와 교수(敎授) 일지[1909년 4월~1909년 11월]와 속(續) 교수 일지[1909년 11~12월]로 구성되어 있다. 학교의 설립 과정과 설립 당시의 설립 추진 인물, 임원 구성, 교과 과정, 학교 행사, 각 교과의 진도 등 교육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명륜학교 일사』는 동래부 사립 명륜학교의 설립 과정과 추진 인물, 임원 구성, 교육의 내용을 기록하여, 명륜학교의 근대적 성격을 밝혀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