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한국 경성 전도』 「부산 일본 거류지 지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501
한자 韓國京城全圖釜山日本居留地地圖
영어의미역 Map of Settlements in Busan and Japan in Hanguk Gyeongseong Jeondo[Map of Korea and Gyeongse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동판 인쇄본
관리자 영남대학교 박물관
제작 시기/일시 1903년연표보기 - 제작
현 소장처 영남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1

[정의]

1903년 제작된 『한국 경성 전도』에 삽입된 부산의 일본 거류지 지도.

[형태 및 구성]

『한국 경성 전도(韓國京城全圖)』 「부산 일본 거류지 지도(釜山日本居留地地圖)」는 일본의 경부철도주식회사가 1903년에 제작한 『한국 경성 전도(韓國京城全圖)』에 삽입된 부산의 일본인 전관 거류지 지도이다. 지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성 전도의 왼편 위쪽에 부산의 일본인 거류지를 그려 넣었다. 반대편인 오른편 위쪽에는 대구 시가지를 그렸다. 대구 지도 아래에 범례를 표시하였다. 범례에는 인가, 도로, 전기 철도, 경인 철도 등을 그려 넣었다. 축척[1:10,000]은 지도 하단에 표시하였다. 『한국 경성 전도』 「부산 일본 거류지 지도」는 동판 인쇄본으로, 크기는 가로, 세로 97.8×68.4㎝이다.

[특징]

부산 지도는 용두산, 용미산 주위의 일본인 거류지를 중심으로 묘사하였다. 축척은 1:8,000이다. 일본인 거류지는 1877년 부산 구조계 조약(釜山口租界條約)으로 설정되었다. 지역은 초량 왜관이 있던 용두산 공원을 중심으로 동쪽과 남쪽에 해면을 접한 부정형 4각형의 형상으로, 총 면적은 약 0.33㎢에 이르렀다. 전관 거류지의 일본인들은 자치 행정 조직으로 거류 민단을 설립하여, 이 지역의 경찰권이나 징세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하였다.

산은 우모식(羽毛式)으로 표현하여, 복병산(伏兵山)과 용미산(龍尾山)을 그려 넣었다. 복병산대청동 1가 중심부에 있는 독립된 구릉성의 산지이다. 복병산이라는 지명은 조선 시대 이곳에 복병막을 설치한 데서 비롯한다. 복병막은 군사 잠복 초소로서 초량 왜관 안의 일본인들의 난동, 풍기 문란, 밀무역을 막기 위해, 1739년(영조 15) 동래 부사 정형복(鄭亨復)에 의해 6개소가 설치되었다. 1892년에 복병산은 ‘복병산 조차에 관한 협정’으로 일본인의 공동 묘지로 이용되었다.

용미산은 과거 부산시청 자리에 있던 조그만 야산으로, 풍수 형국에서 용두산과 대칭되는 산이었다. 해안을 매립하기 위한 착평 공사로 없어졌다. 해안에는 방파제가 확장 예정 계획과 함께 묘사되어 있고, 해관소(海關所) 표시가 있다. 이 해관소는 1883년 11월에 지금의 중앙동 바닷가에 설립된 것이다. 내륙에는 격자식 도로가 개설되어 있고, 정(町) 별로 구역이 표시되어 있다. 남빈정과 북빈정, 일정목, 이정목 등의 지명이 해안 일대에 기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한국 경성 전도』 「부산 일본 거류지 지도」는 조선 개화기에 형성된 부산 시가지의 원형을 파악할 수 있는 지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