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전전오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499
한자 前田伍助
영어음역 Jeonjeonojo
분야 종교/신종교,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정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승려
성별
대표경력 금광교 회장
활동 시기/일시 1903년 - 금광교 교회소 설립
활동 시기/일시 1911년 - 금광교 교회소 신축
활동 시기/일시 1932년 - 금광교 회관 설립
활동 시기/일시 1935년 - 금광교 포교소 설치
활동지 금광교 교회소 - 부산광역시 서구 토성동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에서 일본의 금광교를 포교한 일본인 승려.

[활동 사항]

전전오조(前田伍助)가 언제 부산에 왔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1903년 3월 전전오조금광교(金光敎) 관장의 인가를 얻고, 다시 부산영사관의 인가를 얻어, 부평정[현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에 금광교 교회소를 설립하였다. 1911년 교회소를 신축하였고, 신도 수가 점차 증가하자 1932년 회관을 건립하였다. 1935년 당시 신도 수가 2천여 명에 이르렀으며, 초량정[현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포교소를 두기도 하였다.

금광교는 1859년 지금의 오카야마 현[岡山縣]에 살았던 농부인 가와데 분지로[川手文治郞, 1814~1883]에 의해 창시되었다. 가와데 분지로는 자신이 악신(惡神) 곤진[金神]의 새로운 이름인 곤코[金光]로부터 신과 인간 사이의 중개자로 활동할 것을 지목받았다고 주장하였다. 금광교는 흑주교(黑住敎)[1814], 천리교(天理敎)[1838] 등과 함께 일본 신종교 발생의 효시를 이루는 중요한 교단이었다. 전전오조는 이후 스스로 금광교 회장이 되어 포교에 힘을 기울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