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454 |
---|---|
한자 | 地圖東萊府地圖 |
영어의미역 | Map of Dongnae-bu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윤용출 |
[정의]
18세기 중엽에 제작된 『지도』에 수록된 동래부 지도.
[형태 및 구성]
『지도(地圖)』 「동래부 지도(東萊府地圖)」는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지도(地圖)』에 수록된 것으로, 20리 방안 위에 그려진 군현 지도이다. 구성과 형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지도』와 동일하나 각 군현 지도의 여백에 주기를 기입한 것이 특징이다. 지도의 모사 수준은 매우 떨어진다. 산지는 녹색으로 표현되었으나 줄기의 연결성은 약하게 표현되었다. 또한 농담(濃淡)을 통해 산줄기의 강약을 표현하는 기법도 나타나지 않는다. 장서각의 『지도』에서 읍치와 진의 표현에 색채의 차이를 둔 것과는 달리 이 『지도』에서는 모두 붉은색으로 처리되었다.
『지도』 「동래부 지도」에 기재된 주기 내용을 보면, 군현 명칭의 변화, 물산, 면 수, 호구 수, 전결 수 등을 기재하고 있으며 초량 왜관에 대해 자세하게 기재한 것이 특징이다. 특산물로 도자기, 전죽(箭竹), 석류, 유자, 청옥(靑玉), 은구어(銀口魚), 숭어 등이 기재되었다. 주기에 따르면 동래부에는 7,662호가 파악되었으며, 군총(軍摠)은 4,000명, 전결(田結)은 3,327결 남짓으로 기재하였다. 지도에 포함된 주요 지명으로, 계명산, 금정산, 선암산, 화지산, 장산, 황령산, 금용산 등이 표현되었으며, 사배현, 기비현 등의 고개와 소산역, 개운포, 두모포, 다대포, 몰운대, 응록대, 오해항 등이 표기되었다. 섬으로 고지도, 모등변도, 다가리, 관음암, 석우암, 요암, 우산 등이 표현되었다.
[특징]
『지도』 「동래부 지도」는 20리 방안[20리를 하나의 방안에 그리는 방식, 보통 4.1㎝로 하나의 방안을 만듦] 위에 그려진 군현 지도이다.
[의의와 평가]
18세기 중엽 동래부의 지세와 지명을 비롯한 지리 정보를 잘 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