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453 |
---|---|
한자 | 地圖機張縣地圖 |
영어의미역 | Map of Gijang-hyeon in Jido [18th century, Korea University Museum]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윤용출 |
[정의]
18세기 중엽에 제작된 『지도』에 수록된 기장현 지도.
[형태 및 구성]
『지도(地圖)』 「기장현 지도(機張縣地圖)」는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지도(地圖)』에 수록된 것으로, 20리 방안 위에 그려진 군현 지도이다. 구성과 형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지도』와 동일하나 각 군현 지도의 여백에 주기를 기입한 것이 특징이다. 지도의 모사 수준은 매우 떨어진다. 산지는 녹색으로 표현되었으나 줄기의 연결성은 약하게 표현되었다. 또한 농담(濃淡)을 통해 산줄기의 강약을 표현하는 기법도 나타나지 않는다. 장서각의 『지도』에서 읍치와 진의 표현에 색채의 차이를 둔 것과는 달리 이 『지도』에서는 모두 붉은색으로 처리되었다.
『지도』 「기장현 지도」에 기재된 주기 내용을 보면, 기장현은 경상좌도 소속으로 경주의 관할을 받았으며, 별칭은 갑화양곡, 차성이라 하였다. 명산으로 탄산, 대천으로 기포가 기록되어 있다. 면이 7곳, 창이 1곳 있으며, 호수는 2,779호임을 밝히고 있다. 전결 수는 2,402결 2부 7속이며 한양과의 거리는 약 380.9㎞[970리], 대구 감영과와 거리는 약 113.9㎞[290리]로 기재되었다. 지도에 포함된 주요 지명으로, 중북면(中北面) 의 장안사(長安寺), 동면(東面)의 아리포(阿里爾)·해창(海倉)·기포(碁浦), 상서면(上西面)의 쌍교(雙橋), 하서면(下西面)의 아월역(阿月驛)·상사(上祠)·선소(船所), 남면(南面)의 남산 봉수 등이 포함되었다. 섬으로 무지포도(无只浦島), 죽도(竹島)가 포함되었다.
[특징]
『지도』 「기장현 지도」는 20리 방안[20리를 하나의 방안에 그리는 방식, 보통 4.1㎝로 하나의 방안을 만듦] 위에 그려진 군현 지도이다.
[의의와 평가]
18세기 중엽 기장현의 지세와 지명을 비롯한 지리 정보를 잘 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