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442 |
---|---|
한자 | 機張縣邑誌地圖 |
영어의미역 | Map of Gijanghyeon Eupj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이종봉 |
[정의]
1899년에 작성된 『기장현 읍지』에 첨부된 지도.
[형태 및 구성]
『기장현 읍지(機張縣邑誌)』 「기장현 지도」는 세로 29.2㎝, 가로 17.2㎝의 크기로, 행정 면과 산·하천·도로·고적·봉수·사찰·사창 등을 그려놓았다. 면은 읍내면을 제외한 7개 면을 기록하고 있고, 앵림산·탄산·취봉산·운봉산·불광산 등의 산, 박곡제·채암제·사근제 등의 제언, 안적사·장안사 등의 사찰, 시랑대·원앙대·적선대·황학대·삼성대 등의 대, 남산 봉수, 아이 봉수 등의 봉수와 함께 사직단, 향교, 왜성, 어사암, 해창, 읍기(邑基) 등을 기록하고 있다. 현재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특징]
채색 필사본의 고지도로, 현존하는 기장현[군]의 고지도 중에서 가장 늦게 제작된 것으로 유추되며, 『해동 지도(海東地圖)』 「기장현 지도(機張縣地圖)」와는 다른 점이 찾아진다. 『해동 지도(海東地圖)』에 있는 소위 기장의 4대 사찰인 취봉사·선여사 등이 이 지도에는 빠져 있으므로 이들 사찰이 19세기 말에 존재하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도로의 표시인 양산계·동래계·울산계 등은 묘사되어 있지만, 대로에서 연결되는 도로의 표시는 그다지 자세하지 않다. 따라서 1899년 『기장현 읍지』 「기장현 지도」는 이전 지도와 비교할 때 크기와 수준 면에서 한 단계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기장현 읍지』 「기장현 지도」는 18세기와 19세기 말 기장의 경관 상황을 비교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