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변상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367
한자 卞相泰
영어음역 Byeon Sangtae
이칭/별칭 석당(石塘)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하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출생 시기/일시 1889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05년 - 의병 운동 참여
수학 시기/일시 1908년 - 부산상업학교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10년 - 대붕회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15년 - 노동자 200여 명을 규합, 조선인 어린이를 괴롭히던 일본인 농장주 집 습격
활동 시기/일시 1917년 - 대동청년단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19년 - 마산 삼진 의거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20년 - 아사동맹회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22년 7월 - 밀고로 체포되어 3년 수감
활동 시기/일시 1944년 - 고려구국동맹회 조직
몰년 시기/일시 1963년연표보기 - 변상태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63년연표보기 - 대통령 표창 추서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출생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일암리
거주|이주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양촌리 374
묘소 대전 국립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
기념비 지사 석당 변상태 선생 기념비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양촌리 187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본관은 초계. 호는 석당(石塘). 변상태(卞相泰)[1889~1963]는 1889년에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일암리에서 태어났다. 변상태는 1905년 정명교(鄭明敎), 황병기(黃炳基) 등과 의병 운동을 하였다. 1910년 국권 강탈 후에는 최기택(崔基澤) 등 6명과 함께 부산의 불락산[현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뒷산]에 올라 대붕회(大鵬會)라는 비밀 결사를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15년에는 부산에서 노동자 200여 명을 규합, 조선인 어린이를 괴롭히던 대신동의 일본인 농장주 집을 습격하여 집을 부수고 방화하는 등 울분을 토하였다. 당시 일본인 농장주는 한 어린이가 농장에서 오이를 훔쳐 먹었다는 이유로 어린이의 전신에 콜타르를 칠하여 기절하게 만드는 등 횡포를 부렸다. 1917년에는 대동청년당(大同靑年團)에 가입하였으며 모험부장에 선출되면서 본격적으로 독립 운동을 하였다.

1919년 3·1 운동 당시 서울에서 만세 시위에 참가한 후 조선국권회복단으로부터 서부 경상남도 일대의 만세 시위를 지휘하라는 책임을 맡고 내려왔으며 진주의 김재화, 거창의 신종목, 함안의 조용태 등과 거사를 논의하였다. 3월 하순 고향으로 돌아온 변상태는 권영조, 권태용, 권영대, 변상섭, 권태준, 백승학, 그리고 아우 변상헌 등과 함께 삼진 지방[현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진북면·진전면의 3개 면]의 의거를 계획하였다. 3월 28일 고현 장터 의거는 약정한 대로 무사히 끝마쳤으나, 음력 3월 삼짇날[양력 4월 3일]의 삼진 의거는 일본 헌병대의 발포로 8명의 사망자와 많은 부상자를 내게 되었다.

1920년 2월에는 만주로 건너가서 박광, 김정식 등과 한국회관을 건립하고자 노력하였고 곽인협, 김상집 등과는 아사동맹회(餓死同盟會)라는 독립운동 단체를 조직하기도 하였다. 1922년 5월에는 독립 자금 3,000원을 의열단 단원인 이종암에게 전달하여 이종암이 1923년 3월 18일에 상하이[上海] 황포탄(黃浦灘)에서 오성륜, 김익상과 더불어 일본 육군 대장 다나카 기이치[田中義一]를 저격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하였다. 변상태는 1922년 7월 이웃 친지의 밀고로 체포되어 49일 동안 잔혹한 고문을 받은 다음, 미결수 신분으로 6개월, 서대문감옥에서 6개월, 함흥감옥에서 2년 등 3년 동안 수감 생활을 하였다. 출옥 후 1944년 진주에서 구여순(具汝淳) 등 11인의 동지와 고려구국동맹회(高麗救國同盟會)를 조직하여 활동하였으며 1963년에 사망하였다.

[묘소]

변상태의 묘소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에 있다가 2009년 대전 국립현충원으로 이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1963년에 대통령 표창, 1990년에 건국 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양촌리 187번지에 지사 석당 변상태 선생 기념비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