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311 |
---|---|
한자 | 日韓交涉略史 |
영어음역 | Ilhan Gyoseop Yaksa |
영어의미역 | A Brief History of Korea-Japan Negotiations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현명철 |
[정의]
1875년부터 1894년까지 부산에 일본 관리를 두는 것을 비롯한 한일 간의 중요한 사건을 중심으로 서술한 자료.
[편찬/간행 경위]
『일한 교섭 약사(日韓交涉略史)』는 대신 관방 기록 과장인 가토 마스오[加藤增雄]가 1894년에 편찬하였다.
[형태]
1면 15행의 활자본이다.
[구성/내용]
1894년(명치 27) 당시까지의 교섭을 30항목으로 선정하여 정리한 것이다. 운양함 포격, 일한 수호 조약 체결, 수신사 김기수(金綺秀), 수호 조규 부록 및 통상 장정 체결, 부산에 일본 관리관을 둔 일, 두모진(豆毛鎭)의 과세 정지 사건, 원산, 인천 개항 담판, 수신사 김홍집(金弘集), 수신사 조병호(趙秉鎬)가 일본에 와서 세칙 및 세정(稅定) 상의한 일, 임오군란, 수신사 박영효(朴泳孝), 갑신정변, 김옥균(金玉均) 관련, 일한 통상 장정 및 통어 규칙 개정, 방곡령, 김옥균 모살 등의 내용이 일본의 입장에서 간략하게 실려 있다.
1. 운양함 포격, 일한 수호 조약 체결 및 조선 속방론(屬邦論)에 관하여 청국 정부와 교섭한 일[1875년 9월부터 동년 2월까지]
2. 수신사 김기수 일본에 간 일[1876년 5~6월]
3. 수호 조규 부록 및 통상 장정 체결의 일[1876년 6~8월]
4. 비로소 부산에 일본 관리관을 둔 일[1876년 10월]
5. 개항지 선정 등의 일[1877년 9월~1878년 2월]
6. 일본 제국 정부가, 화방(花房) 공사로 하여금 조선 예조 판서의 서신을 물리치게 한 일[1878년 5월~11월]
7. 두모진의 과세 정지의 일[1878년 9월~1879년 1월]
8. 원산, 인천 개항 담판 및 징세 상해(償害)의 일[1879년 3월~9월]
9. 화방 대리 공사 변리 공사로 승진, 수신사 김기수 내조 및 조선 정부가 미국 정부의 수호 요구에 응하지 않는 일[1880년 4월~9월]
10. 화방 변리 공사의 알현 및 인천 개항의 일[1880년 12월~1881년 6월]
11. 수신사 조병호가 일본에 와서 세칙 및 세정 상의 일[1881년 10~11월]
12. 조선국 관제 개혁, 화방 변리 공사 도한(渡韓), 세칙 협정(稅則協定)의 전의(前議) 계승의 일[1882년 4~7월]
13. 세자 관혼식에 관한 축하의 친서, 증여품의 일[1882년 5월]
14. 1882년(고종 19, 명치 15) 경성 사변
15. 수신사 박영효 등 내조의 일[1882년 10월]
16. 화방, 죽첨(竹添) 양 공사 교대 임용의 일[1882년 11월]
17. 해저 전신선 가설 조약 체결의 일[1883년 1~3월]
18. 일본 어민 취급 조규 체결의 일[1883년 4~12월]
19. 조선 개각 알력의 일[1884년 5월]
20. 전보금(塡補金) 반환의 일[1884년 10월]
21. 1884년(명치 17) 경성 변란의 일[1884년 12월]
22. 호위병 철회에 관하여 조선 정부에 조회할 일[1885년 6~7월]
23. 조선 정부가 김옥균의 인도를 청하였으나 일본 정부가 불응한 일[1885년-명치18]
24. 조선인 김옥균의 본방(本邦) 퇴거 및 자객 지운영 송환의 일[1886년-명치 19]
25. 조선국, 구미 제국에 사절 파견의 일[1887년-명치 20]
26. 일한 통어 규칙 계약의 일[1885년 6월~1890년 1월]
27. 일한 통상 장정 및 통어 규칙 개정의 일[1888년 7월~1892년 1월]
28. 원산 방곡령(元山防穀令)의 일[1889년~1893년]
29. 조선 정부 화폐 주조 사업에 관한 일[1891년 9월~1893년 10월]
30. 김옥균 모살, 박영효 모살 미수 및 조선국 임시 대리 공사 유기환(兪箕煥)에 관한 일[1894년-명치 27]
[의의와 평가]
청일 전쟁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한일 간의 중요한 사항을 정리한 것이다. 내용이 간략하여 학문적 연구에는 부족함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