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1872 군현 지도』「기장 지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299
한자 1872郡縣地圖機張地圖
영어의미역 Map of Gijang in 1872 County and Township|'Gijang-jido in 1872 Gunhyeon-jido, County Map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서용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관리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제작 시기/일시 1872년연표보기 - 제작
현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정의]

1872년에 편찬된 군현 지도 가운데 기장현을 그린 지도.

[개설]

1866년(고종 3) 병인양요와 1871년(고종 8) 신미양요 같은 외침을 겪은 이후 조선 정부는 국방과 치안을 위한 관제 개정, 군제 개편, 군사 시설의 확충과 경비의 강화, 군기(軍器)의 정비와 실험 등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지방의 실정을 파악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였고, 이를 위해 1871~1872년에 전국적인 차원에서 각 군현의 읍지 편찬과 지도 제작 사업을 추진하였다.

1872년 중앙에서는 전국 각 지역의 군사 시설 및 지역에 대한 파악의 일환으로 총 458장의 군현 지도를 제작하였다. 그중에서 『1872 군현 지도』 「기장 지도(1872郡縣地圖機張地圖)」는 경상도가 만들어 올린 기장 지역의 지도이며, 오늘날 부산시 기장군의 산줄기와 물줄기의 흐름 및 해안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지도이다. 경상도의 군현 지도는 모두 104장이 제작되었는데, 이 중 일반 군현 지도가 50장이고 진보(鎭堡), 산성(山城), 목장(牧場) 지도가 54장에 달한다. 기본적으로 군사적인 측면, 특히 해방(海防)이 강조된 지도이기 때문에 군사 시설이 상세히 표시된 지도를 별도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현재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지도의 형태는 낱장의 채색 필사본(彩色筆寫本)으로, 크기는 가로 70.0㎝, 세로 117.0㎝이다. 지도의 중앙에는 지금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서부리에 있었던 기장읍성이 타원형으로 그려져 있다. 기장읍성 내에는 객사(客舍), 동헌(東軒), 향청(鄕廳), 인리청(人吏廳), 사창(司倉)이 표현되어 있다. 읍성 밖에는 향교(鄕校)가 그려져 있으며 당시 사정(射亭)으로 쓰였던 관덕정이 읍성 남쪽에 표시되어 있다.

주변 지역은 각 면과 소속 마을들이 표기되어 있으며 황색의 초가집으로 사창(社倉)을 표시하였다. 읍치(邑治)의 남문으로부터 이어지는 도로를 붉은색 실선으로 그렸으며 중요한 지역에는 거리를 주기하였다. 군사적인 내용으로는 북쪽의 아이봉(阿爾烽)과 남쪽의 남산봉(南山烽), 그리고 남쪽 해안의 주사(舟師)에 있는 전선이 그려져 있다. 해안의 형승(形勝)인 시랑대, 삼성대, 황학대, 원앙대 등도 표시되어 있고, 남쪽에 두모포도 기재되어 있다. 또한 북쪽의 장안사(長安寺)와 남쪽의 안적사(安寂寺) 등의 사찰도 그려져 있다.

[특징]

1872년에 편찬된 군현 지도는 군사적 요소 외에도 산천을 비롯한 자연환경과 읍치(邑治) 등의 관청 건물 및 소속 동리와 같은 행정적 요소, 사창(社倉), 장시(場市), 역원(驛院), 도로 등의 사회 경제적 요소, 그리고 제단(祭壇), 누정(樓亭), 서원(書院)과 같은 문화적 요소를 망라하고 있다. 하지만 당시 지방 통치에 중요한 사항들이 우선적으로 선택되고 그렇지 않은 요소들은 생략되었다. 한편 이 시기에 편찬된 군현 지도는 회화적 성격과 지도적 성격이 혼합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래서 회화적 아름다움을 지니면서도 산과 하천, 고개, 사찰, 면, 역참, 장시 등 지역의 모습이 다른 어느 지도보다도 자세하게 그려져 있다. 『1872 군현 지도』 「기장 지도」는 다른 군현 지도와 전체 구조는 대체로 유사하지만 내용이나 구체적인 기법들은 다르다. 특히 회화적 성격이 강하며 산지는 바위, 수목 등을 세밀하게 그려 입체감 있게 표현하였다. 바다는 해파묘(海波描)를 사용하여 강조하였다.

[의의와 평가]

『1872 군현 지도』 「기장 지도」는 지금까지 조선 시대 기장 지역을 묘사한 지도 중 가장 세밀한 것 중 하나로, 기장현의 전체 상황이 비교적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기장 지도를 포함해서 1872년에 편찬된 군현 지도들은 1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시간에 제작되었고, 이전의 읍지에 첨부된 지도를 바탕으로 그렸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그려지지는 못했다. 그러나 지리 정보의 양은 다른 지도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풍부하다. 지도학사적인 측면에서는 현존하는 조선 시대 지도 대부분이 중앙 관서의 감독에 의해 일괄적으로 제작된 데 비해 『1872 군현 지도』 「기장 지도」는 상대적으로 비전문적인 현지인에 의해 만들어지고 모아진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