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287 |
---|---|
한자 | 沙川面新草梁員田畓行審 |
영어음역 | Sacheon-myeon Sinchoryangwon Jeondap Haengsim |
영어의미역 | Land Register for the Farmland in Sinchoryangwon in Sacheon-myeo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오인택 |
[정의]
1871년 동래부에서 편찬한 사천면 신초량원 소재 전답의 양안.
[편찬/간행 경위]
동래부는 법규에 따라 토지의 부세 행정을 집행하기 위하여 1871년(고종 8) 관내 모든 면의 전답을 조사하여 양안을 작성하였으며, 『사천면 신초량원 전답 행심(沙川面新草梁員田畓行審)』은 1871년(고종 8)에 동래부에서 사천면 신초량원(新草梁員) 소재의 전답을 행심(行審)하여 작성한 양안이다. 행심이란 부세 수납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사된 기존 양안을 기준으로 실지 조사를 하여 변화 사항을 기록하는 양안이다. 기존의 양안을 필사한 것을 사용하므로 기재 방식은 일반 양안과 동일하다. 하지만 본 행심이 기준으로 삼은 동래부 양안이 언제 양전[토지 측량]된 내용인지는 알 수 없다.
[형태/서지]
『사천면 신초량원 전답 행심』은 1책의 필사본으로, 책 크기는 49.2×32.6㎝이다. 책 첫머리는 ‘동치 구년 신미 구월 일(同治九年辛未九月日)’로 기재되었고, 책 끝머리에 ‘사(使)’를 기재하고 이어서 수결(手決)[전근대 사회에서 사용하던 사인]을 하였다. 내제지(內題紙)[겉표지 다음의 지면]에는 제팔권(第八卷)으로 기재되어 있다.
[구성/내용]
『사천면 신초량원 전답 행심』은 신초량원 소재의 토지 필지들을 천자문의 글자[자호] 순서에 따라 5결씩 배열하였다. 기재 항목은 각 필지의 지번, 양전 방향, 토지 등급, 토지 형태, 지목, 배미(夜味) 수[답의 경우만], 장광 척수[척 단위 길이], 결부수, 사표[특정 필지의 사방에 있는 필지의 기주 이름], 기주의 성명 순이다. 기주 난에는 첨지를 붙였다.
원래 정부 정책에 따라 시행된 양전의 결과로 만든 양안[토지 대장]은 한번 기재된 기주[소유주] 이름은 다시 양전을 할 때까지 바꾸어 기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행심 양안의 기주 난에는 바뀐 기주 이름이 첨지 형태로 새로 기재되었는데, 행심을 작성할 때 새로 실지 조사를 하였기 때문이다. 전체 전답의 결수는 56결 64부 6속이며, 답은 22결 97속 5속이고 전은 33결 67부 1속이었다.
[의의와 평가]
1871년 당시 행심 양안의 형식과 기재 양식, 동래부 사천면 신초량원의 토지 규모를 알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