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273 |
---|---|
한자 | 慶尙左水營長鬐縣三政津漂到倭空小船長廣尺數制樣圖畵成冊 |
영어의미역 | Record of Janggi-hyeon in Gyeongsang Jwasuyeo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화진 |
[정의]
1863년 경상 좌수영 관할에 있던 지역에 표류한 왜선에 대한 조사 기록서.
[형태/서지]
『경상 좌수영 장기현 삼정진 표도 왜공 소선 장광 척수 제양 도화 성책(慶尙左水營長鬐縣三政津漂到倭空小船長廣尺數制樣圖畵成冊)』은 1책[2장]의 필사본으로, 책의 크기는 39.7×29.2㎝이다.
[구성/내용]
『경상 좌수영 장기현 삼정진 표도 왜공 소선 장광 척수 제양 도화 성책』은 1863년(철종 14) 8월 경상 좌수영에서 편찬한 책으로, 경상 좌수영 관할하의 장기현(長鬐縣) 삼정진(三政津)[지금의 경상북도 포항시 장기면·구룡포읍·대보면 일대] 해안가에 표류한 일본 왜선의 길이·넓이·높이 등의 규모와 형태를 조사, 기록하였다.
표류한 것은 소형 일본 선박으로, 사람이 타지 않은 텅 빈 배였으므로 표류인에 대한 접대 공궤(供饋)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선척(船隻), 본판(本板), 선두 곡목, 선두, 허리(腰), 말미(尾), 좌우변, 대소 가룡(大小駕龍), 후비 하판(後飛荷板), 노(櫓) 등의 길이와 너비의 척수(尺數) 및 훼손 여부 등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왜선의 형상에 대해서 직체(直體)와 횡체(橫體)를 도형으로 표시해 놓았다.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의 도장[慶尙左道水軍節度使之印]’이 찍혀 있으며 권말에는 수군절도사의 수결(手決)이 있다.
[의의와 평가]
1860년대 당시 일본 선박의 모습과 제도를 고찰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