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공문 일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265
한자 公文日錄
영어음역 Gongmun Illok
영어의미역 List of Official Document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동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도서
편자 동래부
권책 5책
규격 35×27㎝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정의]

조선 후기 동래부와 여러 관공서 사이에 오고간 공문서를 모아 놓은 책.

[편찬/간행 경위]

『공문 일록(公文日錄)』은 1857(철종 8)~1895년(고종 32)에 동래부와 순영, 병영, 통영, 중앙 관청, 각 면 사이에 오고간 관문(關文), 감결(甘結), 문장(文狀), 전령(傳令), 사통(私通) 등의 공문서를 집약하여 동래부에서 날짜순으로 묶은 것이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펴낸 『각사 등록(各司謄錄)』 17집에 옮겨 수록되어 있다.

[형태/서지]

5책의 필사본으로 크기는 가로 35㎝, 세로 27㎝이다.

[구성/내용]

『공문 일록』의 제1책과 제2책 사이에 1859~1888년의 기록이 빠져 있다. 내용은 신임 관리의 각 읍 순시, 관리의 왕래, 관리의 도임, 관리에 대한 포폄, 관청 건물의 수리 및 중건, 향사당(鄕射堂)의 행사 등 동래부 자체의 일들과, 왕실 경조사의 시행 절차, 각종 민폐에 대한 기록이 대부분이다. 각 책별로 주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책의 주요 내용은 수재(水災)에 의한 피해 전답의 현황, 인명 사상, 가옥 파괴 현황 등의 보고와 그에 대한 대책, 대왕대비 김씨 원순 왕후(純元王后) 사후의 장례 절차와 각종 금지 사항, 암행어사 출두에 대한 보고, 족징(族徵)의 폐, 민고(民庫) 운영의 폐단, 이서층의 폐단, 향임 취득시의 뇌물 수수 문제 등이다. 제2책의 주요 내용은 포사(砲士)의 급료 지급, 숙종 대왕(肅宗大王)인경 왕후(仁敬王后) 등의 존호(尊號)를 올리는 문제, 신정 왕후(神貞王后)의 연제(練祭)를 지낼 때의 망곡(望哭)과 역복(易服) 절차 등이다.

제3책의 주요 내용은 당오전(當五錢)의 통용, 만인격의 폐단과 금지, 충렬공 송상현(宋象賢)의 제사에 따른 시행 절차 및 제물·축문·경비, 각 면 각 동 산야에 있는 금점(金店)·동점(銅店)·석탄점(石炭店)의 사채(私採) 유무, 도살 금지, 결부 수 감하, 호포 징수 문제, 환곡 폐단의 유형 등이다. 제4책의 주요 내용은 범어사의 명례궁(明禮宮) 이속(移屬), 일본 육군 병대와 모군(募軍), 동학란 효유에 대한 지시, 범어사의 낡은 폐단 절목, 갑오경장 이후 각양의 의안(議案)의 시행, 삼항 감리서(三港監理署)의 설치 등이다. 제5책의 주요 내용은 장시에서의 승한배(升漢輩)·감고배(監考輩)의 행패, 각종 공문 서식, 보부상의 혁파 등이다.

[의의와 평가]

『공문 일록』은 19세기 후반 지방의 각종 민폐와 동래부 소관의 각종 행정 사항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제4책과 제5책에는 동학 혁명에 따른 정부 측의 대책, 갑오경장 이후 각종 개혁의 실시에 대한 내용이 자세히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