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상도 기장현 소재영 면부 출세 둔전답 개량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222
한자 慶尙道機張縣所在營免賦出稅屯田畓改量案
영어음역 Gyeongsangdo Gijang-hyeon Sojaeyeong Myeonbu Chuse Dunjeondap Gaeryangan
영어의미역 Improvement Plan for the Garrison Farm in Gijang-hyeon, Gyeongsangdo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오인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도서
편자 기장 현감
권책 1책[4장]
규격 57.7×40.2㎝
권수제 경상도기장현소재영둔전답병진개량안(慶尙道機張縣所在營屯田畓丙辰改量案)
판심제 경상도기장현소재영둔전답병진개량안(慶尙道機張縣所在營屯田畓丙辰改量案)
저술 시기/일시 1796년 5월연표보기 - 저술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정의]

1796년에 기장현에서 작성한 영둔전 양안.

[편찬/간행 경위]

『경상도 기장현 소재영 면부 출세 둔전답 개량안(慶尙道機張縣所在營免賦出稅屯田畓改量案)』은 1796년(정조 20) 5월에 경상도 기장현이 관내의 둔전답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한 양안의 일종이다. 개량안(改量案)은 ‘고쳐서 작성한 양안’이란 뜻이므로 기존 양안을 다시 조사하여 작성한 것이다.

[형태/서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조선 후기 아문 둔토 양안의 일종으로, 1책[4장]의 필사본이다. 책 크기는 57.7×40.2㎝이다. 표지에는 ‘경상도 기장현 소재영 둔전답 병진 개량안(慶尙道機張縣所在營屯田畓丙辰改量案)’으로 기재되어 있다. 양안의 첫 면에 가경 원년[1796] 5월 일로 기재되어 있어 간행 연도가 1796년임을 알 수 있다. 표지에는 제조[중앙의 최고위 책임 관료]의 수결[사인]이 있으며, 말미에는 ‘기장현감지인(機張縣監之印)’이라는 직인이 있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본은 권말에 1장의 낙장이 있다.

[구성/내용]

영둔 전답의 소재지는 기장현 내의 상서면 노현원, 북삼동면 방고곡원 및 달음 산원이다. 기재된 전체 토지 결수는 15결 99부 5속이며, 그 가운데 경작하지 않는 토지였던 양진(量陳)[정부의 공식적인 토지 조사에서 묵혀진 경지로 인정된 경지]과 양후진(量後陳)[정부의 공식적인 토지 조사에서 경작되는 경지로 등록되었으나 그 후에 묵혀진 경지]을 제외한 경작지인 기전답은 13결 5부 7속이다. 전체적으로 밭은 2결 28부 9속, 논은 13결 40부 6속으로서 논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컸다.

토지의 기재 방식은 자호에 이어 각 필지마다 지번, 양전 방향, 토지 등급, 지형, 지목, 장광척[척 단위의 가로와 세로 길이], 결 부수[면적], 기주명[소유주] 순으로 기재되었다. 기주의 대부분은 기재된 이름 형식으로 보아서 대부분 노비였다. 소유주로 기재된 노비는 실제의 소유주였거나 양반의 토지를 관리하던 노비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의의와 평가]

기장현에 있던 영둔의 전답 규모를 알 수 있으며, 1796년 당시의 양안 기재 형식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