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문몽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215
한자 文夢啓
영어음역 Mun Monggye
분야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웅천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손숙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향반
성별
본관 남평
출생 시기/일시 1778년연표보기 - 출생
몰년 시기/일시 1844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기장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웅천리지도보기
거주|이주지 기장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웅천리지도보기

[정의]

조선 후기 부산 기장 지역에 살았던 향반(鄕班).

[가계]

본관은 남평(南平). 아버지는 문유빈(文有彬)이고, 어머니는 최수인(崔守仁)의 딸이다. 부인은 월성 김씨(月城金氏)로, 김응서(金應瑞)의 딸이다. 아들은 문처한(文處翰)이며, 손자는 문의노(文義魯)이다.

[활동 사항]

문몽계(文夢啓)[1778~1844]는 1806년(순조 6) 28세에 기장향교의 장의(掌議)가 되었고, 1835년(헌종 1) 57세 때 동수(洞首)를 지냈다. 기장 철마 남평 문씨 종가집 장손으로서 가계의 대소사를 주관하였고, 과부가 된 종수(從嫂)[사촌의 부인]와 오촌 형제를 거두어 함께 살면서 도움을 주었다.

남평 문씨는 기장 철마의 대표적인 향반 가문으로, 동래 지역 미남에서 이주해 왔다. 병자호란 이후 문여욱[1602~?]이 철마에 터를 잡았고, 이후 후손이 번창하여 향반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문몽계와 관련된 고문서 호구 단자(戶口單子)[호주가 가족 사항을 적어 지방 수령에게 신고하던 서류] 및 명문 10여 점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