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수군절도영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196
한자 水軍節度營誌
영어음역 Sugunjeoldoyeongji
영어의미역 Site of Navy Force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강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도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757~1765년 - 『수군절도영지』가 포함된 『여지도서』 편찬
소장처 한국교회사연구소 -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330

[정의]

조선 후기 편찬된 『여지도서』에 실려 있는, 부산에 있던 수군절도영에 대한 기록.

[개설]

『여지도서』는 1757~1765년에 각 읍에서 편찬한 읍지를 모아서 만든 전국 읍지로, 전체 55책의 필사본이다. 여기에는 295개의 읍지와 17개의 영지(營誌), 1개의 진지(鎭誌)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제36책에서 제49책이 경상도 부분인데, 여기에 『수군절도영지(水軍節度營誌)』가 실려 있다. 읍지의 내용 구성은 지리지의 일반적 내용이지만, 각 읍에서 편찬한 읍지를 모아 전국 지방 사회의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 만들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여지도서』의 경상도 편은 감영, 통영, 병영, 수영 등의 영지 5편, 대구 등 읍지 60편, 『여지도서』에서 빠져 보유(補遺) 편으로 수록된, 울산 등 11고을 읍지를 비롯한 76개의 지리지로 구성되어 있다. 『수군절도영지』는 경상도 편의 네 번째에 수록되어 있는데, 성지(城池) 등 10개 항목으로 되어 있다.

[구성/내용]

『수군절도영지』의 첫 부분에 좌수영의 채색 지도가 있다. 다음으로 좌수영의 성지, 관직, 공해(公廨), 창고, 방물(方物), 진공(進貢), 군향(軍餉), 발참(撥站), 수군, 전선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성지에서는 성의 둘레, 높이, 성가퀴, 옹성(甕城), 성문과 누각의 개수를 서술하고 있다. 관직에서는 좌수영의 유래, 좌수사와 휘하의 군관과 병사의 수, 우후(虞侯)와 역학(譯學)의 수를 기술하고 있다.

공해에서는 결승당(結勝堂) 등 14곳의 관청 건물, 창고에서는 군기고 등 8곳의 창고 이름을 서술하고 있다. 방물에서는 정조(正朝), 탄일(誕日), 동지의 방물, 진공에서는 단오와 동지의 진공을 서술하고 있다. 군향에서는 쌀, 월과미(月課米), 선상대미(船上大米), 미식(米食), 증미(蒸米)의 수를 적고 있다.

발참에서는 좌수영에서 문경현까지 가는 길의 각 고을 사이의 거리를 적고 있다. 수군에서는 좌수영, 부산진, 다대진, 개운포, 두모포, 서평포, 서생진, 포이포, 울산부, 기장현에 배속된 각 전선과 소속 군사 수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전선에서는 좌수영, 우후, 부산진, 다대진, 개운포, 두모포, 서생포, 서생진, 포이포, 울산부, 기장현의 전선의 수를 적고 있다.

[의의와 평가]

『수군절도영지』 첫머리에 채색 지도가 실려 있고, 거리와 방위 등이 정확한 대축척 지도가 덧붙여져 18세기 중엽 좌수영의 실제 모습을 아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조선 후기 경상 좌수영의 편제와 운영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