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동국대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192
한자 東國大全圖
영어음역 Dongguk Daejido
영어의미역 Grand Map of Korea [1755~1757]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776~1800년연표보기 - 동국대지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7년 12월 31일연표보기 - 동국대지도 보물 제1538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동국대지도 보물 재지정
현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관리자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정의]

조선 후기 부산 및 우리나라 전역의 지리 정보를 표시한 조선 전도.

[개설]

동국대지도(東國大全圖)정상기(鄭尙驥)의 「동국지도(東國地圖)」 유형에 속하는 대표적인 조선 전도이다. 18세기 전기에 정상기가 제작하고 아들 정항령(鄭恒齡) 등에 의해 수정·보완된 「동국지도」는 당시로서는 매우 자세한 대축척 지도이고, 또 축척이 지도의 모든 지점에서 동일하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지도 발달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정상기의 「동국지도」는 대개가 약 42만분의 1인 도별도와 조선 전도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 전도는 한지 전지 크기의 소형 전도와 각 도별도를 그대로 연결시켜 만든 대형 전도가 있다. 동국대지도는 2007년 12월 31일 보물 제153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동국대지도는 세견(細絹) 세 폭을 이어 만들었는데, 크기는 272.2×137.9㎝이다. 정교하게 그려진 솜씨로 볼 때 도화서의 화원이 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만주를 포함하여 그린 것으로 보아 「동국지도」를 원본으로 하여 그린 것으로 보인다. 백리척(百里尺)을 사용했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은 편이다. 백리척은 100리를 1자[尺]로, 10리를 1치[寸]로 계산하기 때문에 지도상의 위치를 실제 거리로 환산할 수 있다.

[특징]

동국대지도에는 전국의 산줄기와 물줄기가 상세하게 표현되어 있고 330여 개에 달하는 군현 위치를 자세하게 기록하고 각 지역의 읍성과 병영, 수영, 진, 역 등 각종 행정, 군사 정보를 수록하였다. 동해상에서는 울릉도와 우산도가 상세한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부산 인근의 묘사에서는 포이포는 좌수영에 속하는 것으로 그려져 있으며, 부산포개운포, 두모포, 왜관, 서평진이 묘사되어 있다. 절영도가 실경으로 그려져 있으며, 군현을 잇는 도로와 연안 해로가 적색 실선으로 묘사되어 있다. 지도에 나타난 지명을 통해 제작 연도를 짐작할 수 있다. 동국대지도에 나타난 평안도 초산(楚山)은 1776년에 이산(理山)에서 개칭된 것이며, 1800년 이원(利原)으로 개칭된 함경도 이성(利城)은 옛 지명 그대로 수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동국대지도는 양 시기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동국대지도는 조선의 지도 발달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