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송의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083
한자 宋依仁
영어음역 Song Uiin
분야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231-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손숙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향반
성별
본관 여산
출생 시기/일시 1572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98년 - 『만력 무술안』 작성에 참여
몰년 시기/일시 1608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동래 - 부산광역시 동래구
거주|이주지 동래 - 부산광역시 동래구
묘소|단소 동래 오륜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오륜동

[정의]

조선 후기 『만력 무술안(萬曆戊戌案)』의 작성을 주도한 동래 출신의 향반(鄕班).

[가계]

본관은 여산(礪山). 호는 낙호(樂湖). 수양 대군(首陽大君)이 조카 단종(端宗)을 쫓아내고 왕위를 빼앗은 계유정난[1453]을 일으키자 동래로 입향한 동주(東洲) 송극명(宋克明)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송종렴(宋宗濂)이고, 부인은 김해 허씨(金海許氏)다. 동래의 여산 송씨(礪山宋氏)는 원윤공파(元尹公派)의 후손으로, 입향조의 호를 따서 동주공파(東洲公派)로 불린다.

[활동 사항]

송의인(宋依仁)[1572~1608]은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동하였고, 동주공파 여산 송씨 친족 6명도 동래성에서 왜군과 싸우다 순절하여 서원에 배향되었다. 이처럼 동래에서 명망이 높은 가문이었기 때문에 송의인은 자연스럽게 1598년(선조 31) 동래 최초의 향안인 『만력 무술안』[무술 향안]의 작성에 참여하였고, 자신의 이름을 올릴 수 있었다. 향안은 지역 양반들의 이름이 적힌 명부로, 여기에 등재되어야만 향반(鄕班)으로서 지역 사회에서 공식적인 활동을 할 수 있었다. 향안에 등재되려면 학식과 인품을 갖춘 사람으로 향원(鄕員)[향촌 양반들의 자치 기구인 유향소의 일원]들의 인정을 받아야 했다. 무술 향안에 등재된 향반은 송의인을 포함하여 박희근(朴希根), 김정서(金廷瑞), 김우정(金禹鼎), 김사위(金士偉) 등 5명으로, 모두 동래에서 유명한 원향(原鄕) 가문 출신이다.

[묘소]

송의인의 묘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오륜동 오륜대 선영에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