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048
한자 蕙林
영어음역 Hyerim
이칭/별칭 김진탁(金震鐸),향곡 혜림(香谷蕙林),향곡(香谷)
분야 종교/불교,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한상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승려
성별
대표경력 선암사 조실|묘관음사 주지
출생 시기/일시 1912년 1월 18일[음력]연표보기 - 출생
출가|서품 시기/일시 1927년 - 천성산 내원사로 출가
활동 시기/일시 1931년 - 범어사 운봉에게 구족계 받음
활동 시기/일시 활동 시기/일시 - 1947년
활동 시기/일시 활동 시기/일시 - 1951년
활동 시기/일시 활동 시기/일시 - 1959년
몰년 시기/일시 1978년 12월 18일[음력]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 토성리
활동지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활동지 선암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3동 628지도보기
활동지 묘관음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 1지도보기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 1
묘소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 1

[정의]

근현대 부산 범어사 등에서 활동한 승려.

[개설]

속명은 김진탁(金震鐸), 법명은 혜림(蕙林), 법호는 향곡(香谷). 아버지는 김원묵(金元默)이고, 어머니는 김적정행(金寂靜行)이다.

[활동 사항]

혜림[1912~1978]은 1912년 1월 18일[음력] 경상북도 영일군 신광면 토성리[현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 토성리]에서 태어났다. 1927년 16세에 천성산 내원사로 출가하여 범어사 성월(性月)을 은사로 득도하고, 혜림(蕙林)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1931년 금정산 범어사 금강계단에서 운봉(雲峯)에게 구족계를 받았다. 이후 내원사 조실 운봉 문하에서 정진하다 크게 깨달은 후 인가를 받았다. 1960년대~1970년대에 ‘북쪽에는 전강, 남쪽에는 향곡’이란 뜻의 ‘북전강 남향곡(北田岡南香谷)’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혜림은 한국 불교의 가장 대표적인 참선 수행자였다.

1947년 문경 봉암사에서 성철(性徹)·청담(靑潭)·보문·자운(慈雲) 등과 함께 결사에 참여하였다. 봉암사 결사는 한국 불교의 정통성을 지키고, 수행자의 본분대로 살아갈 것을 발원하여 이후 대한불교 조계종의 정신적 바탕이 되었다. 이후 혜림은 제방선원에서 수좌들을 바른 길로 인도하였다. 6·25 전쟁 직후인 1951년에는 부산 선암사 조실로 추대되었다. 1955년에는 정화불사에 동참하여 경주 불국사 주지 소임을 맡았고, 신라 최초의 사찰인 흥륜사를 중창하였다. 정화불사 당시 중앙종회의장으로 한국 불교를 바로 세우기 위하여 헌신하였다.

1959년에 부산 묘관음사에 길상선원(吉祥禪院)을 개원하고 무차 대회(無遮大會)를 열어 법문을 펼쳤다. 이후 조계산 선암사, 경주 불국사, 팔공산 동화사의 조실 및 선학원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67년 진제(眞際)에게 법맥을 물려주고, 후학 양성에 힘을 기울이다가 1978년 12월 18일[음력] 묘관음사에서 입적하였다. 세수는 67세, 법랍은 57세였다.

[사상과 저술]

혜림경허(鏡虛)·혜월(慧月)·운봉의 법맥을 계승하였다. 혜림은 “후학을 가르칠 때는 부처를 절대자로 생각하지 말아야 하며, 부처에 대한 관념을 버리지 못하면 부처 또한 스스로를 얽어매는 쇠사슬에 불과하다.”고 강조하였다. 즉 스스로가 하나의 무위 진인(無位眞人)[도를 닦는 마음이 뛰어나서 지위를 달 수 없을 만큼의 위치에 오른 참된 인간]임을 자각하도록 하였다. 또 혜림은 “정법을 만나 공부하는 사람이면 먹고 입는 데 팔려서는 안 된다.”면서 “머리에 붙은 불을 끄는 것과 같이 간절히 공부해야 된다.”고 강조하였다. 또 “편하고 잘 먹는 것만 생각하면 도심(道心)이 일어나지 못하고 망상과 분별과 번뇌만 일어난다. 신심과 분심과 의심을 갖고 정진해야 성과가 있다.”고 하였다. 저서로 1982년에 제자들이 편찬한 『향곡 선사 법어집(香谷禪師法語集)』이 있다.

[묘소]

부도와 비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 1번지에 있는 묘관음사에 마련되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오**** 스님 내용 보다가 오류 있어 말씀드립니다.
아버지 김원묵에서 김원묵 : 링크 대상이 틀리네요
경상북도 영일군 신광면 토성리 : 관련 항목이 없네요.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적하신 사항은 수정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15.11.18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