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원찬 필 호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569
한자 李元粲 筆 虎圖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 301번길 45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현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9년 7월 24일연표보기 - 이원찬 필 호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8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이원찬 필 호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성격 회화|영묘화
작가 이원찬
수량 1폭
소유자 국립해양박물관
관리자 국립해양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국립해양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원찬이 그린 호랑이 그림.

[개설]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이원찬(李元粲) 필(筆) 호도(虎圖)는 조선시대 화가로 알려진 이원찬의 작품으로, 종이에 수묵채색으로 그려진 족자형태의 그림이다. 원산과 근경의 암벽을 배경으로 절벽에 걸터앉아 하늘을 바라보며 포효하는 모습이다. 화면 하단에는 양각방인의 자호인과 음각방인의 ‘이원찬(李元粲)’ 성명인이 관서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이 그림은 세로로 긴 화폭에 사선을 표현한 원산을 배경으로 근경에 암벽과 폭포를 배치하고 절벽의 암반위에 걸터 앉아 위를 올려다보는 호랑이 한 마리를 배치한 작품이다. 원산의 사선 표현, 암벽사이의 나뭇잎과 폭포 등의 채색표현 등으로 미루어 일본화풍의 영향이 감지된다.

현재 이원찬의 작품으로 알려진 그림은 3점이다. 국립해양박물관 소장품 외에 오사카역사박물관 소장 호도와 독일 베를린 국립 아시아미술관 소장 호도가 그것이다. 오사카역사박물관 소장 호도는 신기수 컬렉션의 하나로, 배경은 비워둔 채 몸을 웅크리고 돌아보는 호랑이의 모습을 그린 것이며, 독일 베를린 국립아시아미술관 소장 작품도 배경없이 거의 유사한 구도의 작품이다. 이들 작품에서 확인되는 이원찬 호랑이의 특징은 동그랗고 큰 눈, 벌레모양의 작은 눈동자, 살찐 누에 같은 눈썹, 3자 모양의 윗입술, 검은 꼬리 끝과 검은 점이 박힌 하얀 원의 묘사 등이다. 현재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호도 작품에 관서된 인장과 오사카역사박물관 소장 호도의 인장이 동일하며, 호랑이묘사의 특징 및 세밀하고 유려한 필치 또한 일맥상통한다.

이원찬은 국내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화가이나, 일본의 『고화비고(古畫備考)』 50권(五十卷) 「조선서화전(朝鮮書畵傳)」 기록에서 뛰어난 필력이 확인되는 인물이다.

‘호랑이그림은 견본농채이고 모필이 극히 세밀하다(虎圖絹本濃彩, 毛筆キ極テ密也)’,‘일본 것도 아니고 중국 것도 아니다. 완산完山 정중靜仲의 취향이 있어서 어려운데, 한국 그림으로 인정되니 이것을 보완한 뒤 고찰하기 기다린다.(和ニ非ズ, 完山靜仲, ノ趣アリ. 因テ韓畵ト認メ.此ニ補ヒ後考テ俟シ)’

李元粲, 「조선서화전(朝鮮書畵傳)」

여기서 완산정중(完山靜仲)은 조선 16세기 전반에 활동했던 이암(李巖)(1499~ ?)을 지칭하는 것으로, 완산(完山)은 그의 본관이고, 정중(靜仲)은 그의 자이다. 이암의 그림 실력은 당대로부터 정평이 나 있었으며, 후대에도 섬세하고 온화한 필치로 세밀한 영모화조를 즐겨 그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므로 이원찬의 영모화는 조선 초기 이암의 필력에 견줄 만큼 뛰어났음이 추측 가능하다.

[의의와 평가]

이원찬 필 호도는 일본으로부터 입수된 환수문화재이다. 이원찬의 생몰년은 명확하지 않으며, 국내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작가이나 일본의 『고화비고(古畫備考)』의 「조선서화전(朝鮮書畵傳)」에 수록되어져 있어, 향후 한일 교류작가 연구에 중요한 사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작품의 구도나 표현에서 일본 취향이 감지될 뿐만 아니라 조선통신사 회화를 중심으로 수집해왔던 신기수 컬렉션에 또 다른 이원찬의 작품이 포함된 점 등을 미루어 조선통신사 관련 작품일 개연성이 높다. 2019년 7월 24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0.11.20 오타 수정 지역에서 부부산광역시를 부산광역시로 수정함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