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불사 불조역대통재 권1~12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563
한자 古佛寺 佛祖歷代通載 券一~十二
이칭/별칭 불조통재,역대통재,통재,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6호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고촌로 28번길 77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윤상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9년 5월 29일연표보기 - 고불사 불조역대통재 권1~12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6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고불사 불조역대통재 권1~12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성격 불교 서적
작가 원(元) 매옥 염상(梅屋念常)
수량 6책
규격 26.0×17.4㎝
소유자 고불사
관리자 고불사
문화재 지정 번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고불사(古佛寺)에 소장되어 있는 원(元)의 매옥 염상(梅屋念常, 1282~1341)이 편찬한 불교 역사서.

[개설]

고불사 불조역대통재 권1~12는 고불사에 소장되어 있는 불교 역사서이다. 중국 원의 임제종(臨濟宗) 승(僧)인 매옥 염상이 석가여래 탄생부터 1333년까지의 역대 왕조와 황실, 신료(臣僚), 불교의 흥폐(興廢), 불교계의 활동, 불교 관련 서적, 역경(譯經), 유(儒)·불(佛)·도(道)의 관련 사항 등을 선종(禪宗)의 관점에서 기술하였다. 1576년 쌍봉사(雙峰寺)에서 중간(重刊)한 경판(經板)으로 닥종이에 후쇄(後刷)한 목판본(木板本)으로, 전체 22권 11책 중 권1~12의 12권 6책 결본(缺本)이다.

[저자]

매옥 염상은 중국 원(元)의 임제종(臨濟宗) 승려이다. 생몰년은 1282~1341년이다. 간화(看話) 5세로 매기의 제자이며 『불조역대통재』를 찬술했다.

[형태 및 서지]

고불사 불조역대통재 권1~12는 오침안정법(五針眼訂法)으로 장정된 선장본(線裝本)으로, 판식(版式)은 상하단변(上下單邊) 좌우쌍변(左右雙邊)에 반곽(半郭)의 크기는 18.1×12.1cm이다. 계선(界線)이 있으며 행자수(行字數)는 10행20자에 소자쌍행(小字雙行)이다. 어미(魚尾)는 내향부정어미(內向不定魚尾)로 흑어미(黑魚尾), 1엽화문어미(葉花紋魚尾), 2엽화문어미, 3엽화문어미, 유문어미(有紋魚尾) 등이 섞여 있다. 어미에는 각수(刻手) 표식이 새겨진 경우가 가끔씩 있다. 책의 크기는 26.0×17.4cm이다.

권수제(卷首題)와 권말제(卷末題)는 ‘佛祖歷代通載’이고 표제는 ‘佛祖通載’, 판심제(版心題)는 '通載'이다. 표제 아래에는 소자(小字)로 권차표시(卷次表示)가 묵서(墨書)되어 있고, 서뇌(書腦) 하단에는 총책수표시가 ‘共十一(공십일)’로 묵서되어 있어서 이 책이 11책으로 장정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표지의 우측 하단에는 ‘休菴(휴암)’이라는 소장자명이 묵서되어 있다.

[구성 및 내용]

책의 권두(卷頭)에는 원의 우집(虞集, 1272~1348)이 1341년 6월 11일에 쓴 「불조역대통재서(佛祖歷代通載序)」, 「불조역대통재후서(佛祖歷代通載後序)」, 김수온(金守溫)[1410~1481]이 지은 발문(跋文), 항주(杭州) 상천축사(上天竺寺) 주지 본무(本無)가 1343년 10월 초하룻날에 쓴 「불조역대통재후서」, 사명(四明) 아육왕산(阿育王山) 주지 정인(正印)이 1343년 봄에 쓴 글, 경산(徑山)의 수충(守忠)이 1343년 가을에 쓴 글, 1430년 중간 당시 해당 권(卷)의 간행에 참여한 승려들의 이름, 이 판본의 간기(刊記)와 연화질(緣化秩), 「불조역대통재목록(佛祖歷代通載目錄)」, 「불조역대통재범례(佛祖歷代通載凡例)」 및 「불조통재착자장(佛祖通載錯字章)」이 순서대로 수록되어 있다. 간기는 ‘만력 사년 병자 이월 중한일 전라도 능성지 사자산 쌍봉사 중개간(萬曆四年丙子二月中澣日 全羅道綾城地獅子山雙峰寺重開刊)’으로 되어 있어 1576년 2월 중순에 전라도 능성 사자산의 쌍봉사에서 중간했음을 알 수 있다. 이 간기는 권5의 권미(卷尾)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본문의 구성을 보면, 권1은 과거칠불(過去七佛)의 게송(偈頌)과 불교의 우주관·세계관을 설명하는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권2는 석가 탄생 이전까지의 중국 전설상의 제왕과 성인이 소개되어 있으며, 권3 이하는 석가 출생 이후의 역사를 서술했는데, 1333년까지의 중국 역대 제왕의 연대기에 따라 불교의 사적(事蹟)이나 고승(高僧)의 전기(傳記)를 기술했다.

각 권의 권말과 권미에도 간행과 관련된 기록들이 많이 있다. 먼저 1430년의 중간과 관련해서는 각 해당 권(卷)의 간행에 참여한 승려들의 이름은 권1~8·11·12의 권말이나 권미에 각각 있고, 간행사실은 권1의 권미에 있다. 간행사실은 ‘선덕 오년 세차 경술 십월 초길일 대자은사 수좌비구 광의 홍흥 근모중연 중간유통(宣德五年歲次庚戌十月初吉日 大慈恩寺首座比丘廣議洪興 謹募衆緣 重刊流通)’으로 되어 있어 1430년 10월 초하룻날 대자은사의 수좌비구인 홍흥이 모연(募緣)하여 중간해서 유통시켰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판본의 간행과 관련해서는 각 권의 간행에 시주한 사람들의 명단[시주질]은 권3~6·9의 권미에, 간기와 연화질은 권5의 권미에 있다. 그 외 권8의 권미에는 ‘관휴선사제18현영당시(貫休禪師題十八賢影堂詩)’가 있다.

[의의와 평가]

고불사 불조역대통재 권1~12는 1576년 쌍봉사에서 중간한 경판으로 후쇄한 것이다. 이 판본(版本)에는 이 판본의 간행 사항뿐만 아니라 1430년 선덕본(宣德本)의 간행 사항도 많이 기록되어 있어서 두 시기의 불교 서적 간행 상황을 파악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되는 귀중한 자료이다. 비록 결본이고 후쇄본이기는 하나, 임진왜란 이전에 새겨진 오래된 판본이고 보존 상태도 매우 좋은 편이다. 범어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동일 판본 18권 9책[결본]이 1999년 11월 19일에 부산광역시지정 유형문화재 제39호로 지정된 선례도 있어서, 2019년 5월 29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6호로 지정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