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561
한자 古佛寺 大藏一覽集 券七~十
이칭/별칭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5호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고촌로 28번길 77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이현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9년 5월 29일연표보기 - 고불사 대장일람집 권7~10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5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고불사 대장일람집 권7~10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성격 불교 서적|사전류
작가 송(宋) 진실(陳實)
수량 2책
규격 23.1×16.2㎝
소유자 고불사
관리자 고불사
문화재 지정 번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고불사(古佛寺)에 소장되어 있는 송(宋)의 진실(陳實, 12세기)이 편찬한 사전류의 불교 서적.

[개설]

고불사에 소장되어 있는 사전류의 불교 서적이다. 중국 송나라 영덕(寧德)의 우바새[優婆塞]인 진실이 대장경에 수록된 여러 경론과 성현들의 전기류를 망라하여 8문(門)으로 크게 나눈 다음, 그 문을 다시 60품(品)으로 세분하고 각 품의 주제에 해당하는 내용을 두루 발췌하여 이용에 편리하도록 집대성해 놓은 것이다. 13세기 중엽에 조성(雕成)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인사 대장경판전 장판(藏板) 대장일람집판으로 닥종이에 후쇄(後刷)한 목판본으로, 전체 10권 중 권7~10의 4권2책 결본(缺本)이다.

[저자]

진실은 중국 송나라 영덕(寧德)의 우바새[優婆塞]이다. 생몰년은 불명이며, 12세기에 활동했다. 『대장일람집』을 편찬했다.

[형태 및 서지]

오침안정법(五針眼訂法)으로 장정된 선장본(線裝本)으로, 판식(版式)은 권7을 기준으로 상하단변(上下單邊) 좌우쌍변(左右雙邊)에 반곽(半郭)의 크기는 19.1×12.7㎝이다. 계선(界線)이 있으며 행자수(行字數)는 11행 21자에 소자쌍행(小字雙行)이다. 어미(魚尾)는 하향흑어미(下向黑魚尾)이다. 책의 크기는 23.1×16.2cm이다.

권수제(卷首題)와 권말제(卷末題)는 ‘大藏一覽集’이고 표제는 ‘大藏一覽’, 판심제(版心題)는 ‘覽’이다. 일부 하판구(下版口) 하단에는 ‘자현(自玄)’ 등 다수의 각수명(刻手名)이 새겨져 있다. 표지의 우하단에는 ‘幻化’라는 소장자 표시가, 표제 아래에는 오행(五行)의 표기 방식에 따른 책차 표시인 ‘火’와 ‘土’가 각각 묵서(墨書)되어 있다. 그리고 각 책의 첫 장 우측 상단 여백과 마지막 장 권말제 아래에는 ‘安性烈’이라는 소장자인(所藏者印)이 찍혀져 있다.

[구성 및 내용]

권7에는 제42품 사중품(四衆品)부터 제47품 등각품(等覺品)까지, 권8에는 제48품 법신품(法身品)부터 제51품 십호품(十號品)까지, 권9에는 제52품 교상품(教相品)부터 제54품 당범품(唐梵品)까지, 권10에는 제55품 종안품(宗眼品)부터 제60품 유통품(流通品)까지가 각각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13세기 중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인사 대장경판전 장판 대장일람집판으로 찍은 것이다. 이 판본에는 간기(刊記)나 인출기록(印出記錄)이 없어 정확한 간행 시기나 인출 시기는 알 수가 없다. 다만 그동안의 연구를 통해 간행 시기는 13세기 중엽으로 추정되고 있고, 지질(紙質)이나 책의 형태로 보아 인출은 조선시대에 들어서 이루어진 후쇄본으로 생각된다. 전래본들의 묵흔(墨痕)을 비교해보면 대체로 비슷한 수준의 마모도를 보이고 있다.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8호로 지정되어 있는 흥륜사(興輪寺) 소장본도 마찬가지이다.

비록 결본이고 후쇄본이지만, 13세기 중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경판으로 찍은 것이어서 당시의 불교 서적 인쇄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귀중한 자료이며, 타 지역에서 유형문화재로 지정한 선례도 있어서 2019년 5월 29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