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범어사 나한전 십육나한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543
한자 梵魚寺 羅漢殿 十六羅漢圖
이칭/별칭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05호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유산
유형 기관단체/사찰,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번지)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미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8년 10월 3일연표보기 - 범어사 나한전 십육나한도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05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범어사 나한전 십육나한도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
성격 불교회화/나한전 나한도
작가 보응문성(普應文性)이 금호약효(錦湖若效), 몽화(夢華)
수량 6점
규격 각폭 160×214.5cm 내외
재질 면바탕에 채색(綿本彩色)
소유자 범어사
관리자 범어사성보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후기 불화.

[개설]

십육나한도는 석가모니의 제자 중 16명의 나한을 그린 그림이다. 이들은 석가모니가 열반한 뒤 미륵불이 나타나기까지 열반에 들지 않고 이 세상에 있으면서 불법을 수호하도록 부처에게 위임받은 제자들이다. 부처의 수많은 제자들 중 16명으로 십육나한을 구성하게 된 경위는 아직 명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후기 나한도의 대부분이 십육나한도이다. 대체로 나한을 모시는 전각은 응진전이나 나한전에 봉안되었다.

범어사 십육나한도는 여섯 폭의 비단에 그린 십육나한탱화로, 나한전 내부 중앙의 석가설법도를 중심으로 양측면으로 나누어 봉안되어 있다. 수화승 보응문성(普應文性)과 금호약효(錦湖若效), 몽화(夢華)가 1905년에 범어사 나한전 석가모니후불도를 비롯하여 범어사 팔상전 석가모니후불도와 함께 제작한 불화이다. 2018년 10월 3일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0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범어사 나한전 십육나한도는 좌우 3폭씩 모두 6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폭은 면으로 화면을 형성하였는데, 각폭은 대략 세로 160cm, 가로 214.5cm 내외의 크기이다. 석가설법도를 중심으로 홀수의 나한도는 향우측, 짝수의 나한도는 향좌측에 봉안되는데, 왼쪽부터 제1, 3, 5폭을, 오른쪽에는 제2, 4, 6폭을 각각 배치하였다. 제1폭은 빈도라바라타자, 가나가바리타, 나구라존자를 묘사하였고, 제2폭은 가나가바차, 소빈다, 바다라존자, 제3폭에는 가리가, 지바카, 라호라존자를, 제4폭은 바자라푸타라, 반타카, 나가서나존자, 제5폭에는 가타, 아지타존자, 제6폭은 대나파사, 주다반탁가존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그림의 형식은 1폭에 나한을 3명, 혹은 2명씩 그렸는데, 나한은 염주를 비롯하여 각종 꽃·지팡이·그릇·동물·경전·금강저·과일 등을 들거나, 등을 긁기도 하고 경전을 읽고 참선하는 등 자유로운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배경으로는 청록산수와 같은 자연경관을 비중 있게 다루었고, 학, 거북, 사슴, 소나무와 같은 십장생 내지는 길상 모티프를 반영하여 풍부한 화면을 만들었는데 도불(道佛)습합의 민화풍 불화를 연상케 한다.

[특징]

범어사 나한전 십육나한도는 대한 광무 9년인 1905년에 충청도 마곡사 출신의 승려화가 보응문성과 금호약효 등 19세기 후반 마곡사화파의 화승 그룹이 참여하여 조성한 불화이다. 배경의 청록산수화풍의 자연경관 묘사나 십장생 등 민화의 모티프를 사용한 점, 나한들의 익살스럽고 해학적인 표정과 자세 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화기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금호약효와 보응문성은 조선말기 마곡사화파를 정립한 대표적인 화승이며, 작품의 인물 묘사나 채색기법에서도 마곡사화파의 양식적 특징과 기량이 가감없이 반영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범어사 나한전 십육나한도는 조선말기 충청도 일대를 대표했던 승려화가 집단인 마곡사화파의 화풍과 독창성이 반영된 작품이다. 따라서 예술적 가치가 뛰어나고, 제작시기와 봉안처가 확실하여 학술적 가치가 있다.

[참고 문헌]

『범어사성보박물관 명품도록』, 범어사성보박물관, 2002.

『한국의 불화』범어사편 32, 성보문화재연구원, 2004.

『부산의 문화재』, 부산광역시, 2013.

문화재청(http://www.cha.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