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533
한자 梁山 金鳥塚 出土遺物 一括
이칭/별칭 보물 제1921호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박창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6년 11월 16일연표보기 -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 보물 제1921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 보물로 재지정
현 소장처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부민동2가 1]지도보기
소유자 국유
관리자 동아대학교 박물관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양산 북정리 고분군 금조총(金鳥塚)에서 출토된 삼국 시대 금속공예품 일괄.

[개설]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은 삼국 시대 양산 지역 중심 고분군인 북정리 고분[사적 제93호] 금조총(金鳥塚)에서 출토된 금속공예품이다. 1990년 택지 조성 사업으로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 조사 되었다. 소형 무덤[석실 길이 280㎝]에서 금제 새다리를 비롯한 금동관, 금제 귀걸이, 금제 팔찌 등 화려한 장신구와 청동제 자루솥, 철제품, 토기 등 40여 점의 유물이 훼손이나 도굴 없이 온전하게 출토되었다.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은 삼국 시대 양산의 고분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형태 및 구성]

1. 금제 새다리

순금제 새다리 모양 공예품 1쌍이다. 길이 2.8㎝, 발가락 길이 0.6㎝이다. 유물 부장공간 긴목항아리(長頸壺) 내부와 외부 바닥면에서 각각 1점씩 출토되었다. 몸통이 부식되면서 위치가 흐트러져 출토된 것으로 추정된다. 단조로 제작된 것으로 얇은 4개의 발가락이 나무에 앉아 있는 듯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새다리 부분은 S자 형태의 유려한 곡선으로 되어 있다. 새다리 윗부분 원형 판에는 3개의 구멍이 있어 몸체나 용기(容器) 바닥에 부착하기 위한 흔적으로 추정된다.

2. 누금장식 금제 귀걸이

누금(鏤金)기법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금제 귀걸이 1쌍으로 길이 9.4㎝이다. 무덤 주인의 허리 중앙 아래에 나란히 출토되었다. 중심고리[주환(主環)]는 속이 빈 굵은 원통을 구부려 만들었고, 표면에는 금알갱이를 촘촘히 붙힌 육각형[귀갑문(龜甲文)]의 금판과 원형의 금선으로 굵은 중심고리 전체를 세밀하게 장식했다. 중심고리 아래의 노는고리[유환(遊環)]는 장식된 금실로 나뭇잎 문양을 연속하여 나타내었으며, 연결금구가 매달린 노는고리에는 음각기법으로 점열문(點列文)을 찍어 장식했다. 2단으로 구성된 중간장식[중간식(中間飾)]에는 새끼줄처럼 꼬아 만든 금실로 11개의 고리를 만들고 그 아래에 나뭇잎 모양의 달개장식[영락(瓔珞)]을 달아 장식하였다. 드리개[수하식(垂下飾)]는 펜촉 모양이며 표면을 크고 작은 금알갱이를 이용해 섬세하게 누금장식 하였다. 육각형 금판과 가느다란 금선 작은 금알갱이를 사용하여 귀걸이 전체를 장식한 세밀함과 화려함의 정수를 보여주는 명품이다. 중심고리를 누금 장식하는 형태의 귀걸이는 현재 금조총 출토품을 포함 3점 모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3. 금제 귀걸이

전형적인 신라귀걸이 형태로 중심고리, 노는고리, 연결금구, 중간장식, 드리개로 이루어져 있는 금제 귀걸이 1쌍이다. 길이는 7.2㎝이다. 석실의 바닥시설 아래 생토층에서 출토되었다. 중심고리와 노는고리의 표면은 장식이 없으며 2단의 중간장식은 9개의 고리에 나뭇잎 모양의 달개를 달아 장식하였다. 드리개는 나뭇잎 모양[심엽형(心葉形)]으로 중앙의 세로선 2줄과 그 가장자리를 따라 금 알갱이로 누금장식하여 표현되어 있다.

4. 금제 팔찌

무덤주인의 왼쪽 손목 위치에서 출토된 금제 팔찌 1쌍이다. 지름 7.6㎝이다. 사각형의 금판을 둥글게 휘어 만들었다. 표면은 거치형 돌기를 땜으로 접합하여 장식했다. 돌기의 중앙에는 금박으로 싼 담갈색 물질을 감입(嵌入)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여 정교한 금속세공기술을 보여준다.

5. 은제 허리띠, 띠고리 1점, 띠꾸미개 30점, 띠끝장식 1점

띠고리[교규(鉸具)]를 포함한 띠꾸미개[과판(銙板)] 30매와 직사각형의 띠끝장식 1매 총 31매로 구성되어 있는 은제 허리띠이다. 무덤 주인이 착용하고 있던 것으로 비단이나 가죽으로 된 허리끈은 없어지고 장식구만 출토되었다. 띠꾸미개는 금속판을 당초문과 나뭇잎 문양으로 은판을 오려내어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띠끝장식은 연결부를 경첩과 같은 방식으로 만들었다. 장식무늬에서 띠꾸미개 세부 곡선의 정교함과 섬세한 장식기법이 돋보인다.

6. 청동제 자루솥

유물부장공간에서 출토된 액체나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하던 용기로 추정되는 자루솥이다. 길이 22.2㎝이다. 손잡이가 달린 납작한 반원형의 몸체와 꼭지가 붙어 있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뚜껑에는 나뭇잎 문양[사엽좌문(四葉座紋)]으로 꾸미고 꼭지에 새 모양을 장식하여 조형성과 주조기술의 정교함을 보여준다. 손잡이 내부에는 회양목 재질의 나무 손잡이 일부가 남아 있다.

[특징]

부장공간에서 출토된 금제 새다리(金製鳥足)와 청동제 자루솥은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운 한국에서 처음 출토된 유물이다. 금제 새다리의 발견으로 무덤을 '금조총'으로 이름 붙이게 되었다. 청동제 자루솥은 백제 지역과 신라 왕릉급 무덤에서 외래품으로 부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로 기본적으로 3개의 다리(三足)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금조총 출토 자루솥은 다리가 없고, 뚜껑과 손잡이만 있는 독특한 형태로 기능상의 논의 및 삼국 시대 자루솥 연구의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그리고 금제 새다리와 청동자루솥 꼭지에 표현된 새는 무덤 주인의 영혼을 천상으로 안내하는 역할의 상징성을 가진 부장품으로 추정된다.

무덤주인이 착장(着裝)하거나 의례용으로 매납 된 귀걸이, 허리띠, 팔찌 또한 형태상 신라 왕릉급 무덤에서 출토되는 것과 견주어도 손색없는 유물이다. 누금장식 금제 귀걸이는 경주 보문동 부부총 귀걸이[국보 제90호]와 함께 신라 귀걸이 가운데 최고로 정교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존하는 누금장식 귀걸이 중 가장 크기가 큰 유물로 다른 누금장식 귀걸이와 다르게 육각형의 판을 중심 고리에 붙여서 만든 점이 특징이다. 바닥시설 아래 생토층에서 출토된 금제 귀걸이의 경우 천마총, 양산 부부총 출토품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무덤의 축조시기와 성격, 의례행위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유물이다. 무덤주인의 착장품인 돌기모양으로 정교하게 장식된 금제 팔찌와 화려한 투조기법이 돋보이는 은제 허리띠도 제작 기법과 형태가 신라양식으로 탁월한 수준을 갖추고 있다.

5세기 후반∼6세기 초반에 축조된 금조총에서 출토된 유물은 수량과 무덤의 크기는 다르지만 근접한 양산 부부총 유물과 비슷하다. 부부총 출토품은 일본에 소장되어 있어 삼국 시대 양산 지역 지배층의 문화를 연구하는 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출토유물 중 무구류나 마구류가 없으며, 금제 팔찌가 여성용인 점, 황남대총 북분, 경주 보문동 부부총, 양산 부부총의 부인 등 피장자가 여성으로 확인되는 무덤과 출토 유물의 성격이 비슷하여 무덤주인이 여성으로 추정된다.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을 부장(副葬)한 무덤주인의 사회적 신분과 인접 부부총과의 관계 및 특수성, 경주와의 연관성, 양산지역 매장 의례 연구 등 삼국 시대 양산 지역의 지배층의 문화를 파악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로의 특징을 가진다.

[의의와 평가]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은 개개 유물의 제작상의 뛰어남과 희귀성은 물론 삼국 시대 양산 지역의 지배층의 내세관과 매장문화를 이해 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주조(鑄造), 단조(鍛造), 누금세공(鏤金細工), 투조(透彫) 등 고대 금속공예 기법이 망라되어 있어 기술사적 의의도 크다. 삼국 시대 신라와 양산 지역의 정치 문화사적 측면을 이해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될 수 있다. 2016년 11월 16일 보물 제192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10.17 내용 변경 [상세정보] 현 소장처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부민동2가 1] (추가)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