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450
한자 新舊功臣相會題名之圖 屛風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박물관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7세기 초 -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14년 9월 24일연표보기 -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6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0년 10월 21일연표보기 -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 보물 제2080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 보물로 재지정
현 소장처 동아대학교 박물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지도보기
성격 기록화
작가 미상
규격 각 폭 62.0㎝[가로]×110.5㎝[세로]
서체/기법 마본담채(4폭 병풍)
소유자 동아대학교
관리자 동아대학교 박물관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동아대학교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임란 신구공신에게 선온(宣醞)을 베푼 상회연(相會宴)을 기념하여 그린 기록화.

[개설]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新舊功臣相會題名之圖 屛風)는 1604년(선조 37) 임진왜란 타개에 공훈을 세운 이항복(李恒福), 유영경(柳永慶) 등의 신구 공신에게 선온(宣醞)을 베푼 상회연(相會宴)을 기념하여 그린 기록화이다. 이 기록화와 동일한 그림이 「태평회맹도(太平會盟圖)」(보물 제668-3호)란 이름으로 권응수(權應銖) 종가에서 소장하고 있다.

[형태 및 구성]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는 모두 4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 폭에는 ‘상회연’ 모습이 도해되어 있으며, 2~3폭에는 이때의 연회에 참석한 63명의 공신들의 명단이 적혀 있다. 그리고 4폭은 비워져 있다.

한 폭의 크기가 세로 110.5㎝×가로 62㎝로, 세로 112㎝×가로 63㎝ 크기의 권응수 종가 소장 「태평회맹도」와 그 규격이 거의 비슷하며, 화폭의 재질도 마본(麻本)으로 동일하다. 2~4폭의 상단에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新舊功臣相會題名之圖)’라는 그림 제목이 전서(篆書)로 적혀 있는 것과 달리 권응수 종가 소장본에는 표제가 적혀 있지 않은 것이 유일한 차이점이다.

이 그림은 총 4폭으로, 제1폭에는 화폭 상단에 산이 우뚝 솟아 있고, 그 아래에 상회연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 화면 중앙 흰 색의 차일이 쳐진 내부 공간에 공신들이 위차(位次)에 따라 앉은 채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차일 좌우와 정면에는 58명의 행사 참석자가 자리하고 있다. 이 중 2명은 그림 중앙 임금이 하사한 술병에 절을 하고 있고 나머지 인사들은 중앙에 설치된 차일을 중심으로 차일 우측에 21명, 그 좌측에 10명, 그 정면에 25명이 각각 앉아 있다. 그리고 차일 좌·우측에는 방석 4개가 그려져 있는데, 이는 이날 행사에 참여하지 못한 인사들을 표시한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명단에는 총 63명의 이름이 적혀 있지만 그림에는 62명의 모습만이 직·간접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차일 왼편에는 준상(樽床)과 화로 3대가, 바로 그 옆에는 가지만 앙상한 나무 한 그루가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그 바로 아래에는 구름에 덮인 건물 두 채의 지붕이 그려져 있다.

제2~3폭에 적힌 상회연 참석자의 좌목(座目)이 기록되어 있는데, 좌목에 의하면, 참석자들은 호성공신(扈聖功臣) 44명, 광국공신(光國功臣) 5명, 평난공신(平難功臣) 6명, 청난공신(淸難功臣) 5명, 선무공신(宣武功臣) 8명이다.

제4폭은 상단의 제목 두 글자를 제외하면 그림이나 글씨는 없다.

[특징]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는 계회도(契會圖)로 분류되는 그림이지만, 결계(結契)를 기념하는 의미보다 모임에 참석한 공신들이 성사(盛事)를 기념하는 차원에서 제작된 그림이란 점에서 일반적 계회도와는 구분된다.

[의의와 평가]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는 임진왜란이 끝난 후 책록된 호성공신, 평난공신, 선무공신 뿐 아니라 임진왜란 이전에 책록된 평난공신과 광국공신들의 모임을 기념하여 제작된 기록화로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공신들의 모임을 도해한 그림이 현재 거의 전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희소가치가 큰 작품이다. 2014년 9월 24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6호로 지정되었다가 2020년 10월 21일 보물 제2080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참고 문헌]

『지정조사보고서』(부산광역시, 2014)

부산광역시 문화관광(http://tour.busa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