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거제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439
한자 巨濟府圖
이칭/별칭 거제도도(巨濟島圖)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지도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박물관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9세기 - 거제부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14년 1월 22일연표보기 - 거제부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5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거제부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장처 동아대학교 박물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지도보기
성격 고지도
작가 미상
규격 338.0㎝[가로]×121.0㎝[세로](8폭 병풍)
서체/기법 수묵담채/산수화풍
소유자 동아대학교
관리자 동아대학교 박물관
문화재 지정 번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동아대학교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거제도를 중심으로 주변 군현을 8폭 병풍에 담은 19세기 회화식 군현지도.

[개설]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거제부도(巨濟府圖)는 19세기 제작된 군현지도로, 거제도를 중심으로 주변 군현을 8폭의 병풍에 담은 회화식 지도이다. 2014년 1월 22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거제부도는 종이 바탕에 채색한 그림으로 크기는 세로 134㎝, 가로 338㎝이다. 19세기에 거제도 읍치(邑治)를 중심으로 주변 군현을 8폭 병풍에 담은 회화식 지도로서 풍속화의 요소도 가미되어 있다. 제1폭에 대마도계(對馬島界), 제7폭에 웅천계(熊川界), 통영계(統營界), 제8폭에 창원계(昌原界)를 담고, 병풍의 중앙에 해당하는 제4폭과 5폭에 거제도 중앙 관청을 그려 넣었다.

화면을 살펴보면 사방에서 중앙관청으로 이르는 길을 붉은 선으로 자세하게 그렸고, 지형적 특성도 잘 반영하였다. 화면 중앙에 읍성을 나타내고 그 주변에 관청 건물과 기와지붕을 상세히 표현하고 각 건물의 명칭도 기재하였다. 관청 부근에는 민가, 수목, 못 등을 그리고 지도 아래 바다에는 병사를 가득 태운 배들로 수군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화면의 구성은 관아가 있는 읍치를 화면의 중앙에 배치하고 상하좌우 각 방향으로 산봉우리를 높이듯이 그리는 개화식(開花式) 구성방식을 사용하였다.

[특징]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거제부도는 지도와 풍속화가 결합된 형태로 표현한 점을 특징으로 들 수 있는데, 이는 중앙화단(中央畫壇)에서 활동하던 화원(畫員)들이 지방에 파견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표현기법에서 산지의 표현은 산수화풍으로 산의 봉우리, 암벽, 수목까지도 세밀하게 그리되 경물의 형상을 도형화하였으며, 하천은 청색으로 그리던 관행과 달리 흑색 점선으로 표현한 점도 특이하다.

[의의와 평가]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거제부도는 19세기에 제작된 회화식 지도로, 조선 후기 수군의 모습과 거제도를 중심으로 주변 군현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며, 행정 지명 등이 매우 상세히 수록되어 있어 당시 거제도의 지리와 현상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지도로서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